“한국형 ‘존스쿨’교육 필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2-11 00:00
입력 2011-02-11 00:00
성매매 재범방지 교육인 ‘존스쿨’(John School)을 한국적 상황에 맞도록 전면적으로 손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05년 8월부터 전국 39개 보호관찰소에서 실시 중인 존스쿨이 서구의 것을 그대로 도입한 탓에 우리나라 성매수 남성의 특질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고 실효성을 잃었다는 것이다.

성균관대 도시발전연구소 선임연구원 김준홍(전 서울시 건강증진담당관) 박사는 최근 발간된 한국정책학회보(제19권 4호)의 ‘어떤 한국 남성들이 성을 구매하는가’라는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10일 이 논문에 따르면 성매수 남성들은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람들’이라는 국내외 연구 결과와 달리 월수입이 180만원을 넘는 남성들일 가능성이 높았다. 월수입 401만원 이상인 남성이 수입이 전혀 없는 성매수자보다 성매수 가능성이 5배 이상 높았다.

또 가정폭력, 약물사용 여부와 비정상적 성생활 행태가 성매수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서구와 달리 한국 성매수자들에게서는 이런 요인들이 관측되지 않았다.

오히려 우리나라 성매수자들은 자신의 성매수에 대한 정당화를 잘하는 남성일수록, 성매수에 대한 비판 수위가 낮은 남성일수록 성매수자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따라서 2005년 이후 매년 2배 이상씩 급증하고 있는 성매매 사범을 줄이기 위해서는 존스쿨을 한국적 상황에 맞도록 손질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비정상적이고 극단적인 음주습관 등 ‘음주의존성’이 성매수의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존스쿨에서는 음주의존성을 제대로 다루지 않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운영 시간과 예산 제약 속에서 에이즈 위험과 성매매의 폭력성 및 반인권성 강연보다는 한국 음주문화에 대처하는 효과적 전략 등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1-02-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