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평준화高 학생 배정 방식 변경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3-10 00:48
입력 2011-03-10 00:00

학생 희망·성적 절반씩 반영

전남 목포와 순천, 여수시 등 평준화 고교의 학생 배정 방식이 7년 만에 바뀐다.

9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현행 학생 지원에 따른 배정 방식을 전면적으로 바꿔 학생 희망과 성적별 배정을 50%씩 혼용해 적용하는 새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절반은 중학 내신성적을 9등급으로 나눠 각 학교에 상위부터 하위까지 일정 비율로 배정하고, 나머지 절반은 종전대로 선지원 추첨한다는 것이다. 적용되는 곳은 목포와 여수, 순천 등 3곳으로 현재 중학교 2학년이 입학하는 2012년부터 적용된다.

일부 사립학교와 도의회 등에서 학생들의 선택권을 제약하고 있다며 새 방식 도입을 반대하고 있지만 도교육청은 그대로 강행할 방침이다. 이른바 ‘선지원 후추첨’의 현재 배정 방식은 일부 지역에서 특정학교에 대한 ‘쏠림과 기피’ 현상이 심화돼 평준화 근간이 흔들리는 등 문제가 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실제로 1지망 학교 비율이 여수지역은 10배 이상, 목포와 순천은 각 4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일부 사립고는 우수학생 유치전과 함께 성적 하위 학생들의 1지망 지원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등 부작용도 드러나고 있다. 우열반을 편성, 운영하는 편법으로 우수 신입생 잡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전남지역 평준화 고교는 모두 27개교에 신입생 정원은 8800여명이며, 상위 10% 학생들중 매년 지역별로 100여명 이상이 타 지역으로 진학하고 있다.

무안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1-03-1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