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디지털버스안내 ‘묻지마 확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5-18 00:30
입력 2011-05-18 00:00

시스템 문제점 해결 않고 165억 투입하기로… 정상 작동 20% 그쳐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이 시범사업을 통해 여러 문제점이 드러난 ‘디지털버스안내시스템’에 대해 무려 165억원을 들여 확대운영하기로 해 논란을 부르고 있다.

17일 경기도와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이하 조합)에 따르면 조합은 2009년부터 일부 시내버스에서 시범운영 중인 버스안내 시스템을 도내 모든 시내버스로 확대하기로 하고 최근 대기업 계열사인 S업체를 사업자로 선정했다.

버스안내 시스템은 버스에서 음성으로 안내하고 있는 도착 정보 등 각종 버스이용 정보를 버스 안에 설치된 액정표시장치(LCD) 모니터를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 승객의 편의 증진 및 상업광고 유치에 따른 수익 창출이 기대된다고 조합 측은 밝혔다.

조합은 오는 11월 말까지 도내에서 운행하고 있는 시내버스 가운데 1만대에 버스안내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며 이 사업에는 모두 165억 2000만원이 소요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버스 287대를 대상으로 한 점검 결과 정상 작동되는 것은 20%인 60대에 불과하고 나머지 227대에서 각종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오류가 16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LCD 모니터에서 31건, 운전자 단말기에서 28건의 오류가 발생했다.

특히 이 시스템 프로그램은 300대를 기준으로 설계됐기 때문에 이를 1만여대에 적용할 경우 부하가 걸려 정상 작동이 불가능하다는 게 관련 업계의 관측이다.

시범사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시스템의 셋톱박스와 LCD 모니터의 호환 불능으로 6개월가량 지연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은 시스템 운영상 적지 않은 문제점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말 경기도로부터 이 사업의 확대 시행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사업자 선정 과정도 석연치 않다.

이에 대해 조합 관계자는 “시범 사업에서 드러난 오류는 바로잡았다.”고 해명했다.



김병철·장충식기자

kbchul@seoul.co.kr
2011-05-1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