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中企 임대료 2배 폭리 구설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6-09 00:50
입력 2011-06-09 00:00


대구시가 중소기업을 상대로 거액의 부동산 임대 수수료를 챙겨 구설수에 올랐다.

8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 산하기관인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DIP)이 계명대 대명동 캠퍼스 3만 5808㎡를 2001년부터 임대해 게임, 모바일, 애니메이션 등 문화산업 관련 벤처기업 113개를 입주시켰다. 시는 임대보증금으로 3.3㎡당 연 104만원에 계명대와 계약했다.

하지만 입주 업체로부터는 3.3㎡당 보증금 12만 6000원과 월 임대료 1만 500원을 받고 있다.

이를 연 보증금으로 환산할 경우 264만 6000원에 달한다. 계명대와 체결한 임대료의 2.5배다. 여기에 업체들은 월 관리비로 3.3㎡당 4270원을 내고 있으며 전기료도 70~80만원씩 부담하고 있다. 시가 DIP를 통해 10년 동안 챙긴 임대보증금 차익만도 86억원에 이른다.

계명대 측은 “대구시가 문화산업 육성을 빌미로 대학 자산을 헐값으로 임차받아 사실상 임대료 장사를 하는 게 아니냐.”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오는 11월 10년간의 임대계약 만료를 앞두고 계명대는 계약을 연장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계명대는 DIP가 임대업으로 거액을 챙기고 있는 데다 학생들의 학습 공간도 부족해 더 이상 임대를 연장할 수 없다고 말한다. 현재 대명동 캠퍼스 미술대 학생 1명의 공간이 최소 면적(19㎡)의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계명대는 학습 공간 확보 차원에서 대구시에 임대한 캠퍼스의 37.1%인 1만 3000㎡를 반환받겠다는 의사를 대구시에 전달한 상태다.

계명대 관계자는 “지역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대구시에 캠퍼스 부지를 10년간 헐값에 임대해 재정상 불이익을 감내했다.”며 “학습 공간 확보 차원에서 최소한의 부지 반환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장석구 신기술산업국장은 “임대료는 협의를 통해 합리적 수준으로 인상할 수 있으나 건물은 반환할 수 없다. 40여개의 입주업체들이 당장 짐을 싸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06-0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