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자월도민 복지기금 처리 진통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6-22 00:00
입력 2011-06-22 00:00
인천 옹진군 앞바다에서 바닷모래를 채취하는 업자들이 주민들에게 내놓은 주민복지기금을 놓고 자월도 주민들 사이에 잡음이 일고 있다.

일부 주민은 인근 덕적도처럼 개개인에게 복지기금을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쪽은 마을 공동기금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는 것이다.

21일 옹진군에 따르면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는 덕적·자월도 인근 바다에서 바닷모래를 채취하면서 옹진군에 ㎥당 3340원의 공유수면 점유사용료를 내는 것 외에 별도로 10%를 덕적·자월도 주민들을 위한 주민복지기금으로 내놓았다.

군이 19개 골재업체에 허가한 바다모래 채취 허가량은 2009년 610만㎥, 지난해 800만㎥로 군은 이들 업체로부터 각각 203억원, 267억원 등 모두 470억원의 공유수면 점유사용료를 받았다.

이에 따라 덕적·자월도 주민들은 이 금액의 10%인 47억원(덕적도 60%·자월도 40%)을 받았으며, 덕적도의 경우 주민 1인당 500여만원씩 나눠다.

반면 자월도는 6개 리(里)별로 나눠 마을 공동기금으로 관리하고 있다.

자월1리의 경우 마을 물탱크 설치부지 매입을 위해 1000만원을 사용하는 등 대부분의 마을이 복지기금관리위원회를 두고 공동기금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 주민들은 섬의 소득이 대체로 낮은 만큼 덕적도처럼 주민복지기금을 주민에게 직접 배분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주민은 “주민들에게 나온 돈인 만큼 나눠주는 것이 당연한데 안 주고 있다.”면서 “노인들의 경우 살면 얼마나 더 산다고 왜 이렇게 차일피일 미루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이장은 “복지기금은 개인적으로 피해를 입어 지급하는 돈이 아니기 때문에 마을 공동기금으로 사용하는 것이 맞다.”면서 “마을별로 투명하게 관리하고 어르신들이 돌아가셔도 자식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1-06-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