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사방댐 10년간 500개 더 만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8-09 00:44
입력 2011-08-09 00:00

이번 집중호우에 효과 입증 1개당 토사량 2550㎥ 줄여

경기도는 산사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내년부터 10년간 사방(沙防)댐 500곳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사방댐은 큰 계곡에서 흘러 내려오는 자갈과 흙 등을 퇴적시킬 목적으로 만드는 댐이다. 급류가 강바닥과 양쪽을 깎을 때 발생하는 토사가 하천 하류로 몰리는 것을 막아 산사태를 방지하고, 하천의 수심과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도는 “1986년부터 올해까지 도내에 설치된 305개의 사방댐이 이번 집중호우 때 토사 유출을 줄이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면서 “동두천·포천시와 연천군이 사방댐 증설을 강력히 요청해 왔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도가 연천군 전곡읍 늘목리의 두 계곡이 만나는 곳을 조사해 본 결과, 사방댐이 설치된 곳은 피해가 없었지만 설치가 안 된 곳은 토사와 바위가 하류로 밀려 내려온 것을 확인했다.

지난해 한국정책평가연구원의 자료를 보면 사방댐 1곳이 토사 2550㎥, 즉 5t 트럭 500대 분량의 토사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으며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경기도 산사태 피해 면적(718㏊)을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효과를 근거로 경기도는 해마다 50곳씩, 10년간 500곳의 사방댐을 경기 지역 곳곳에 설치하기로 하고 1곳당 2억~10억원이 드는 사방댐 설치사업을 확대해 달라고 산림청에 건의했다. 도는 산림 재해 취약지를 선정해 인명·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우선으로 선정해 연차별로 사방댐을 건설할 계획이다.

그러나 국비보조사업인 사방댐 건설 예산은 국비가 70%, 지방비가 30%여서 재원 확보가 큰 걸림돌이다.

경기도 산림과 관계자는 “이번 호우 피해로 사방댐 확대 설치의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다.”면서 “정부가 재원을 빨리 마련해 산사태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1-08-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