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vs 식수…안성·평택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싸고 갈등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9-05 00:38
입력 2011-09-05 00:00
“지역개발 막는 상수원보호구역 해제하라.”(안성시), “비상 식수원 수질보호위해 수용할 수 없다.”(평택시) 이웃사촌인 경기 안성시와 평택시가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이미지 확대
4일 두 지자체에 따르면 안성시는 지난달 23일 이한경 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평택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추진단’ 발대식을 가졌다.

조만간 시민들로 구성된 민간추진위원회 발대식도 갖는다. 시가 추진단을 발족한 것은 1979년 지정된 평택시 유천동 안성천 유천취수장 일대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다.

유천취수장으로 인해 상류지역 0.982㎢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으며, 보호구역 가운데 97%인 0.975㎢가 안성시 관내이기 때문이다.

상수원보호구역 주변 안성시 7개 읍·면지역 99.83㎢(전체 시면적의 18%)가 건축물 신·증축 등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



안성시 인구 18만 7000여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7만 8000여명이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특히 안성 서남부지역은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는 등 사통팔달의 지리적인 여건 때문에 산업단지 조성 적지로 꼽히고 있는 곳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상수원보호구역에 묶여 있는 지역은 아파트만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으며 규제지역 외곽에는 공장들이 난립해 있는 실정이다.

안성시는 “평택의 상수원보호구역에 묶여 기업유치 등 서부지역 개발에 제약을 받고 있다.”며 유천취수장을 폐쇄한 뒤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해 줄 것을 평택시에 요구하고 있다.

안성시는 “이 취수장을 폐쇄해도 평택시 주민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광역상수도 공급량만 조금 늘리면 전혀 불편이 없다.”고 덧붙였다.

존치가 필요하다면 상류 쪽으로 급수관을 매설, 물을 취수장에 공급하고 상수원보호구역은 해제하는 등 두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이한경 안성시 부시장은 “안성은 서울 크기의 면적을 갖고 있으면서도 극장 하나 없을 정도로 낙후돼 있다. 서남부지역에 공장 입지가 가능하도록 상수원보호구역이 해제돼야하며 여기에 안성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평택시는 안성의 딱한 사정은 이해하지만 유천취수장이 꼭 있어야 하는 시설로 폐쇄가 불가하며, 수질 보호를 위해서도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시는 광역상수도 공급량을 늘리면 시민의 불편이 없는 것은 맞지만, 이 시설은 비상시 시민의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 계속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군이 평택지역으로 이전해 올 경우 그만큼 비상상황 발생 가능성은 높아지는 만큼 비상급수 시설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종천 평택시 상하수도사업소장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으로 인한 안성시민의 불편은 이해하지만 유천취수장은 존치가 불가피하다.”며 “양 지역 주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1-09-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