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만 하다 날새는 전북
수정 2011-09-16 00:00
입력 2011-09-16 00:00
월화수목금 회의 회의 회의… 회의가 너무 잦아 능률이 떨어져요
●2개월새 ‘일 줄일 회의’ 10번 열어
김완주 지사와 실·국장을 비롯한 간부, 하위직 공무원들이 지난 7월 4일 ‘일하는 방식 쇄신대회’를 가졌다. 잦은 회의와 과도한 회의자료 작성, 야근과 휴일 반납 등 비생산적인 관행을 타파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다짐대회를 가진 지 2개월이 넘도록 이렇다 할 개선책이 발표되기는커녕 되레 회의만 더 늘었다는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불필요하고 형식적인 일을 줄이는 대신 생산성을 높여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는 실행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매주 한 차례 이상 대책회의를 여는 바람에 직원들 사이에 말이 많은 것이다.
전북도는 매주 월요일에는 ‘간부회의’, 수요일 ‘전략회의’, 금요일 ‘조정회의’에 이어 화요일과 목요일에는 ‘간부 티타임’을 하고 있다. 대부분 회의는 한 시간 이상 긴장된 분위기 속에 진행된다. 이 때문에 간부급은 단 하루도 회의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는 실정이다. 티타임도 사실상 변형된 형태의 회의이기 때문이다. 또 실·국장들이 간부회의를 들어갈 자료를 준비하기 위해 과장급 이하 간부와 직원들은 야근이 일상화됐고 휴일에도 나와 일을 해야 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매주 금요일 행정부지사 주재로 열리는 조정회의에서 일하는 방식 쇄신 관련 안건이 논의되는 바람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7월 다짐대회 이후 무려 10여 차례나 일을 줄이기 위한 회의가 열린 것이다. 지난 1일에는 일하는 방식 태스크포스(TF)팀 토론회가 열렸고, 2일에는 금요조정회에서 이를 토대로 한 시간 이상 논의가 진행됐다. 실·국별 대표 17명으로 구성된 TF팀도 4차례 걸쳐 대책회의를 갖는 등 일하는 방식 쇄신을 위한 회의가 잇따르고 있다.
●“묘안 없어 직원들만 파김치”
하지만 뾰족한 방안이 도출되지 않아 회의를 위한 회의만 거듭하고 있다. 전북도 간부는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려면 회의를 하거나 보고 받고 지시하는 스타일을 능률 위주로 바꾸면 간단히 해결될 일을 아랫사람들에게 대책을 내놓으라고 하니 답답하기 그지 없다.”면서 “회의만 늘어 직원들이 파김치가 될 지경”이라고 하소연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1-09-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