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사는 주부 김모(64)씨는 지난 추석 명절 때 서울에서 공직생활을 하는 아들이 보내준 전통시장 상품권으로 차례상을 봤다. 김씨는 “아들이 보내준 전통상품권이 장을 보는 데 요긴하게 사용됐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에서 발행된 전통시장 상품권이 지방의 서민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박민식(한나라당 부산 북·강서(갑)) 의원은 22일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16개 시·도별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의 총판매액 및 회수액(2009년 7월~8월)’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 발행된 상품권의 절반 이상이 지방에서 사용됐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전통시장 상품권이 도입된 2009년 7월 이후 올 8월 현재 전국 전통시장에서 판매된 상품권 금액은 759억원, 회수액은 1449억원이며 미회수액은 310억여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전통시장상품권이 가장 많이 판매된 곳은 서울 지역으로 전체의 약 20%(19.2%)인 338억원어치가 판매됐다. 그러나 회수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44.2%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반면 제주도는 판매금액이 전체의 1%인 17억 5000만원이었으나 총판매액 대비 회수율은 29억 2200만원으로 회수율 166.6%를 기록해 전체 1위를 차지했다. 부산은 총판매액 156억 8000만원, 회수액 160억 9000만원으로 회수율 102.6%를 기록했다.
회수율이 100%가 넘는 지역은 부산, 제주를 포함해 충남, 충북, 인천 등 5개 지역이고, 16개 시·도 평균 회수율인 82.4%를 웃도는 지역은 서울·경기 등을 제외한 11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서울의 높은 판매량과 적은 회수율을 고려할 때 서울에서 발행된 상품권 가운데 미회수 분 대부분은 지방 등지에서 사용돼 지역 서민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은 “지역별 회수율로 보면 전통시장 상품권 판매량의 증가는 지방의 전통시장과 서민경제를 살리는 1석 2조의 효과가 있다.”며 “정부부처 또는 공사 등 공공기관은 솔선수범해 전통시장 상품권 구매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