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와 인접한 경기 지역의 자치단체들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인천국제공항과 평창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경유 노선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과 팔당상수원특별대책지역에 묶여 수도권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개발 규제를 받아온 곳이다. 평창올림픽을 이른바 지역 발전의 징검다리로 활용하려는 전략인 셈이다.
이미지 확대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양평군의회는 지난달 26일 임시회에서 ‘인천~양평~평창 고속철도 노선안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군의회는 “국가 재정을 고려해 3개 안 가운데 제1안(인천공항철도, 중앙선, 원주~강릉선을 잇는 방안으로 4900억원 추산)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한국교통연구원이 지난 7월 평창동계올림픽 수송지원센터 설립 기념 세미나에서 철도 부문 수송 대책안으로 제시한 3개 안 가운데 하나다.
당시 제2안은 인천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고양~수서, 수서~용문, 중앙선, 원주~강릉선(3조 5382억원)이고 제3안은 GTX 고양~수서, 수서~삼동, 여주~서원주선(2조 2500억원)이었다. 양평군의회는 경기 동북부와 강원 내륙이 문화·예술·관광·생태 체험·스포츠 중심지로 떠오르는 점과 지역 간 균형 발전이 필요한 점 등을 유치 이유로 들었다.
또 지난달 성남·이천·광명 출신 여야 경기도의원 11명은 인천~월곶~KTX광명~판교~광주~이천~여주~서원주~평창 노선이 경쟁력이 있다며 동서철도 건설 촉구안을 발의했다. 이들은 “이 노선이 서울~용문~서원주~평창 노선보다 40분이나 빨라져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요구하는 인천공항~평창 간 68분 내 이동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이범관 의원 등 여야 의원 10여명은 지난 8월 인천~이천~여주~원주 복선전철 추진 모임을 결성하고 국토해양부에 조기 추진 건의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대회 유치를 전후해 단체장들도 한마디씩 거들었다. 김춘석 여주군수는 앞서 “평창동계올림픽으로 건설되는 고속철도망에 성남~여주 복선전철이 포함될 수 있도록 이천시, 광주시와 공조해 모든 일을 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