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대표적 관광지인 해운대 동백섬 안에 있는 군 전용 부두인 ´수영부두´가 60여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다.
이미지 확대
해운대 동백섬 내에 있는 군 수영부두(붉은색 부분). 부산시로 완전히 이전되면 동백섬 일대는 시민 친수공간 및 해양관광자원으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수영부두(3만 5105㎡)의 대체시설을 별도의 장소에 건설한 뒤 2015년까지 부산시에 이전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합의각서를 18일 부산시청에서 허남식 부산시장과 서귀철 국군수송사령관이 교환한다고 17일 밝혔다.
6·25전쟁 직후인 1951년 건설된 수영부두는 지난 60여 년간 군 작전부두로 사용됐다. 이곳은 지난 2005년 ‘제13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시민에게 부분 개방돼 현재 누리마루 등을 찾는 외래 관광객의 무료 주차장과 시민들의 낚시터로 사용되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시는 이곳 군 수영부두 자리를 포함한 동백섬 일대를 시민 친수공간으로 재정비하고 해양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시는 그동안 군 수영부두를 시민 친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군 당국을 설득해 왔다.
시와 군 당국은 수영부두를 대체할 군 부두를 당초 강서구 가덕도 서편 백옥포 일대에 건립하기로 했으나 이번에 백지화하고 다른 대체부지를 물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에서 지난 7월 29일 확정 고시한 ‘제3차 항만기본계획(2011~2020년)’에 따라 백옥포에서 천성만에 이르는 해역 137만㎡의 항만지구 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가덕도 서편 일대는 부산신항의 남측 컨테이너부두(11선석), 배후물류단지(142만㎡) 그리고 앞으로 건설될 신항 유류중계기지, 대형선박 수리조선단지 등과 인접한 지역이다. 개발이 추진되면 신항만의 경쟁력 시너지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 군 수영부두를 해운대 동백섬 등과 연계해 시민 친수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가덕도 서편 일대는 항만개발 수요 조사 등을 통해 개발 방향을 구체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