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학교 관사 갈수록 ‘텅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11-23 00:30
입력 2011-11-23 00:00
단독주택 학교 관사가 사라지고 있다. 대신 생활이 편리한 아파트가 관사로 활용되고 있다.

●420곳 중 80곳 거주 안해

충남도교육청이 22일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충남 초·중·고 학교 관사 420여곳 중 80여곳이 당초 목적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보령시 13곳, 당진군 10곳, 홍성군 9곳, 서천군 9곳, 천안시 7곳, 예산군 7곳, 서산시 6곳, 아산시 5곳, 연기군 4곳, 부여군 3곳, 청양군 3곳, 공주시 2곳, 논산·계룡시 2곳 등이다.지난해 단독주택 학교 관사 100여곳을 철거하거나 매각했는데도 빈 곳은 갈수록 늘고 있다. 이는 주로 1980년대 지어져 낡고 단열이 안 돼 겨울에 춥고 여름에는 더워 교장, 교사들이 입주를 꺼리기 때문이다. 교통이 좋아져 자택에서 출퇴근하는 교직원이 많아진 것도 한 이유이다.

●생활 편리한 아파트형 선호



이병구 도교육청 재무관리과 주무관은 “20만~30만원만 주면 읍내 원룸에 살 수 있는데 매달 난방비로 60만원을 부담하면서 농어촌 관사에 살려고 하겠느냐.”면서 “미활용 관사가 당초 교원 거주 목적대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일부는 생태체험학습실, 교직원 휴게실 등으로 활용돼 아주 방치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아파트 학교 관사는 현재 충남에만 100여동에 이르고 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11-2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