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파크 “지역기업 나몰라라” 부실 운영
수정 2011-12-14 01:08
입력 2011-12-14 00:00
대구, 건설공사 수의계약·울산, 우수인력 이탈
대구 테크노파크는 발주하는 건설공사의 대부분을 수의계약으로 하는가 하면 대기업의 하청 노릇만 하고 지역 기업은 외면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런 사실은 최근 대구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드러났다.
대구 테크노파크 산하 경북대센터가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모두 31건의 공사를 했는데, 이 가운데 6건만 조달구매를 했을 뿐 80%인 25건은 수의계약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수의계약을 한 공사 중 상당수가 보일러 설치와 교체·배관 설치 등 설비시스템으로, 전반기 혹은 후반기로 나눠 발주했다. 이에 대해 김화자 대구시의원은 “조달구매를 피하기 위해 쪼개서 분리 발주를 함으로써 수의계약이 가능하도록 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또 경북대센터가 현금만 40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기업을 상대로 임대 사업만 한 것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경북대센터에는 2개 빌딩에 모두 44개 기업체가 입주해 있다.
산하 바이오헬스융합센터는 일부 기능이 대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곳은 지역 기업의 시제품을 생산할 목적으로 고가의 각종 장비를 들여놓았으나, 결국 대기업 음료생산에만 치중해 세금을 낭비했다는 것이다. 2009년부터 이 센터에서 제조된 제품은 H사의 제품 234만개, D사의 제품 200만개다. 박성태 시의원은 “지역기업의 시제품을 생산해야 할 장비로 대기업 제품의 위탁 생산만 하면서 장비사용 수수료를 받는 것은 운영에 문제가 있다.”며 “그동안 구입한 장비가 130억원어치에 이르는데 활용률은 6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여기에다 대구 테크노파크는 올해 전체 예산 445억원 중 9월 말까지 36%만 집행하고 나머지 64%는 남겨둔 상태다. 연말까지 나머지 예산을 집행하려다 보면 주먹구구식으로 부실하게 운영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테크노파크의 부실 운영은 다른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울산 테크노파크는 우수인력 이탈에 따른 부실이 우려됐다. 2007년부터 2011년 10월까지 5년간 정규직 평균 이직률은 10%에 이른다. 정규직 41명, 위촉직 66명 등 107명이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연구기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 탓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원한 지 13년째인 광주 테크노파크 역시 잦은 수의계약과 합당한 절차를 무시한 부서장 채용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시의회 사무감사 결과 2009년 34%에 불과하던 각종 공사와 물품구입, 용역계약 등 수의계약 비율은 지난해 76.9%로 상승한 데 이어 올해는 82.8%를 차지했다. 올해 초 핵심부서장인 정책기획단장도 정관에 명시된 추천위원회 추천 절차와 지식경제부의 협의 등 인사채용 규정을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뽑은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12-1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