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 쪽방촌 생활실태 전수조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1-05 00:00
입력 2012-01-05 00:00
대전의 대표적인 대전역 주변 ‘쪽방촌’에 대한 실태 조사와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이 이뤄진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쪽방촌 상담소와 손잡고 동구 정동·원동의 대전역 주변 370여개 건물에 들어서 있는 1490개의 쪽방에 대한 전면적인 생활 실태 조사를 진행한다. 윤종준 시 복지정책과장은 “쪽방촌 생활 실태 조사는 물론 주거 여건 개선, 자활 지원, 지역공동체 복원까지 토털 시스템으로 사업을 벌이는 것은 국내 처음”이라며 “빈곤 지역으로 대표되는 대도시 역 주변이 인간을 존중하는 삶의 터전으로 바뀌어 뿌리를 내리면 다른 지역의 쪽방촌 개발에도 상당한 파급 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이미지 확대
대전역 주변 쪽방촌. 허름한 건물과 비좁은 골목이 1960~70년대 풍경을 방불케 한다.  대전시 제공
대전역 주변 쪽방촌. 허름한 건물과 비좁은 골목이 1960~70년대 풍경을 방불케 한다.
대전시 제공


이번 조사에서 시는 쪽방의 건물주는 누구인지, 건물 구조는 어떤지, 냉난방 시설은 갖춰져 있는지, 주민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한다. 실태 조사가 끝나면 다음 달부터 13억원을 지원해 쪽방촌 주민 스스로 마을을 가꾸도록 도울 계획이다. 주민들이 ‘집수리 자활사업단’을 만들어 이 사업을 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냉난방이나 가스 시설이 없는 곳에는 시설을 새로 설치하고, 깨진 창은 새로 갈고 도배를 하는 등 집수리를 한다. 전문 예술단체와 손잡고 담벼락에 벽화를 그려 미관을 아름답게 꾸민다. 마을 곳곳에 예술적 조형물도 세운다.

이곳 쪽방촌엔 허름한 여인숙과 단독주택이 들어차 있다. 쪽방은 3.3㎡(1평) 정도로 대부분 기초생활수급자인 노인들이 혼자 산다. 현재 9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직업이 없거나 주변 역전시장이나 중앙시장에서 일용직 노동자로 일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윤 과장은 “많은 주민이 건설 현장 노동자 경험이 있어 집수리 등 스스로 마을을 가꾸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다.”면서 “전문가에게 의뢰해 주민들과의 1대1 상담을 통해 질병이나 우울증 여부를 파악해 치료하고 직업도 적극 알선해 쪽방 주민들이 인간다운 복지를 누리고 서로 정을 나누면서 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2-01-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