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단체장의 실험] “경남·부산 뿌리 같아 함께 발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1-12 00:44
입력 2012-01-12 00:00

남강댐물 남으면 달라는 것이지 댐 높이자는 것 아냐

“부산과 경남은 원래 하나입니다. 뿌리가 같은 만큼 함께 발전해 가야 합니다.”

허남식 부산시장이 11일 경남도지사 신분으로 출근한 경남도청에서 경남도 여직원 대표로부터 환경 꽃다발을 받은 뒤 기자들에게 한 말이다. 허 시장은 이날 오전 7시 30분 부산 수영구 관사를 떠나 8시 50분쯤 경남도청에 도착해 오후 6시까지 경남지사로서 활동했다.

허 시장은 이날 교환 근무 소감으로 “최근 몇 가지 현안이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 있지만, 이번 교환 근무를 통해 확실하게 체감, 함께 해결해 갈 것”이라면서 “역지사지로 상대방의 고충과 걱정을 들어보고 이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열린자세’를 보였다.

하지만 경남과 갈등을 빚고 있는 현안에 대해서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허 시장은 경남도 기자·의회 의장단 간담회에서 질문이 집중된 동남권 신공항 재추진 시 입지에 대해 “신중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1년 전(백지화)과 같은 상황이 다시 올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계 어느 곳이든 공항은 대도시에 있고 떨어진 곳은 불편을 겪기도 한다.”고 말했다.

부산과 경남 간에 쟁점이 된 남강댐 물 부산 공급에 대해서도 “댐이나 수위를 높이자는 것이 아니고 현 상태로 댐을 운영하면서 남는 물이 있으면 달라는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댐 물이 적으면 취수를 즉각 중단하고 이를 시민단체가 감시하면 된다.”면서 “남는 물이 있는지는 전문기관에 믿고 맡기면 된다.”고 상수원 확보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경남도가 대체사업으로 추진하는 낙동강변 인공습지 조성을 통한 물 공급 방안에 대해 허 시장은 “고맙게 생각하지만 엄청난 사업비가 들어가는 등 정부가 해야 할 사업으로 국가가 결정하고 추진해야 한다.”면서 반대 견해를 드러냈다.

부산 강서구와 통합하자는 김해시 제안에 대해서도 “전국 최대 직할시 부산이 광역시로 바뀌면서 인근 군 지역을 통합하지 못했다.”면서 “대도시는 기본적인 면적이 있어야 하는데 인천이나 대구보다 작고 광역시 가운데 가장 좁다.”는 말로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부산~김해 경전철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비율 조정 요청에 대해 “재정부담에는 원칙이 있으며 구간 거리 비율이 가장 객관적이어서 현행대로 결정됐다. 6대4에서 5대5로 바꾸면 새로운 쟁점이 될 수 있다.”고 조정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2-01-1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