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잡는 사람들 이야기’ 책으로 나온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2-03 00:00
입력 2012-02-03 00:00

포경선만 여성선원 허용 포수는 ‘장인’ 지위 보장

‘1930년대 중반 울산지역 어부들은 일본의 포경선을 타고 남극 해역에서 극한의 추위와 싸우면서 고래를 잡았다.’

이미지 확대
1976년 울산 장생포 주민들이 항구에서 포경선에 잡혀 온 길이 23m의 참고래를 구경하고 있다.  울산 남구 제공
1976년 울산 장생포 주민들이 항구에서 포경선에 잡혀 온 길이 23m의 참고래를 구경하고 있다.
울산 남구 제공
허영란(47) 울산대 역사문화학과 교수가 오는 4월 출간 예정인 ‘고래바다 울산, 고래포구 장생포’(가제)라는 책에 수록된 내용이다. 허 교수는 사라져가는 우리나라 근대 포경의 역사를 재조명하기 위해 2009년부터 2년간 포경선 선장과 선원, 고래고기 유통업 종사 자 등 18명을 직접 만나 들은 얘기와 자료를 엮어 책으로 출간한다. 허 교수는 “우리나라 근대 포경은 1899년 울산 장생포에서 시작됐으나 관련 자료가 너무 없다.”면서 “어떤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 고래를 잡았고, 포경이 지역사회와 나아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미시적으로 살펴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허영란 교수, 근대 포경역사 재조명 책 4월 출간

그는 “근대 포경은 일본 자본으로 시작했으며 1930년대 중반 어부 수십명이 하급선원으로 일본 포경선을 타고 고래기름(연료)과 고래고기(식량)를 확보하기 위해 남극에서 고래를 잡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1940년대 일본 홋카이도에서 고래를 잡기도 했다는 게 허 교수의 설명이다. 특히 허 교수는 어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포경선만 여성 선원 탑승을 허용했다고 말했다. 그는 “고래잡이 배는 한번 출항하면 4~5개월 조업을 했기 때문”이라면서 “당시에는 상당히 파격적인 일이었다.”고 강조했다.

●참고래 1마리, 1920년대 쌀 300가마 값

그는 또 “1900년대 초부터 1960년대까지 울산을 비롯한 동해에는 길이 20m가 넘는 대형 참고래와 귀신고래가 많이 잡혔다.”면서 “1920년대 참고래는 1마리에 최소 5000원으로 당시 쌀 300가마 정도에 해당하는 값에 팔렸다.”고 말했다. 참고래는 1982년 8월 장생포 출신 고 이승길(포경선 포수)씨가 울산 근해에서 22m짜리 한 마리를 잡은 것을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췄다.

‘바다 로또’ 밍크고래는 당시 울산 연안에 많았지만 채산성이 낮아 잡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껍질이 두껍고 지방이 많은 귀신고래는 기름을 짜는 데 주로 사용됐다. 그는 “고래고기는 냉장 수단이 부족해 울산과 가까운 도시인 부산, 포항, 대구 등에서 많이 소비됐고, 그 중 부산에서 가장 큰 인기를 누렸다.”면서 “고래잡이 포수는 포경선에서 독보적인 장인의 지위가 보장됐다.”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2-02-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