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광된 태백 함태탄광 다시 가동해야”
수정 2012-02-08 00:46
입력 2012-02-08 00:00
장성광업소 사고로 재논란
장성광업소는 갱내 길이만 수직으로 1000m이고 경사를 타고 내려가는 길이까지 합치면 무려 3000m를 넘는다. 더구나 사고가 난 금천갱은 폭 4.4m, 높이 2.9m밖에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으로 갱내 메탄가스를 완전히 빼내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로 돼 있다. 광원들이 질식사할 수도 있고 작은 스파크에 의한 불꽃도 폭발을 일으킬 수 있을 만큼 채탄 환경이 열악하다.
이는 1993년 정부의 석탄산업합리화 조치 이후 대부분 탄광이 문을 닫고 일부 탄광만 살아남아 채탄 작업을 하면서 작업환경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어려움 속에 상대적으로 작업 환경이 좋은 함태탄광이 재개발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함태탄광은 갱도의 깊이가 300m밖에 안 돼 작업환경이 좋고 여전히 1700만t 이상의 질 좋은 탄이 매장돼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연간 70만t씩 30~40년 동안 채광할 수 있는 함태탄광을 재개발하면 국내 무연탄 수급 안정은 물론 태백시의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10년 국가권익위원회는 장성광업소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산자부에 함태탄광의 재개발을 권유하기도 했다. 현재 국내에는 5개 탄광에서 연간 210만t의 석탄을 생산하고 있는데 석탄합리화정책 시행 전인 1988년 2429만t에 비하면 9% 수준에 불과하다.
태백 시민들은 “갈수록 채탄할 수 있는 광량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등 채탄 여건이 열악해져 인근의 옛 함태탄광을 재개발하지 않고는 장기적으로 채탄 작업이 이뤄지지 못할 것”이라면서 “생산원가 등을 생각하면 수입이 마땅하겠지만 폐광 지역 경제를 회생시키고 태백의 미래를 위해서는 함태탄광을 다시 개발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태백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12-02-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