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사업무산… 인천시 국제적 망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2-09 00:18
입력 2012-02-09 00:00

밀라노시티·세계환경포럼 등 재원 고려않고 무리하게 추진

인천시가 재원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사업 추진으로 국제적인 망신을 자초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이탈리아 밀라노 시장이 인천 영종도 ‘밀라노 디자인시티’ 사업협약 이행을 촉구하는 서한을 인천시에 보낸 것으로 8일 확인됐다. 앞서 이탈리아 주한대사관에서도 밀라노 디자인시티 사업 무산에 따른 항의 서한을 인천시에 보낸 바 있다.

피사피아 밀라노 시장은 이 서한에서 “전시관 개관식에는 이탈리아 나폴리타노 대통령이 참석할 만큼 국가적 관심사였다.”면서 “그러나 최고의 소망 아래 탄생된 프로젝트는 인천시 재정투자 부족으로 최초의 목적과 콘텐츠가 상실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불행히도 프로젝트는 완전히 중단되고 건축물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탈리아 사업 주체들에 의해 제기된 정당한 거래와 요청들은 무시되고 있다.”면서 “인천시가 현재 발생한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받기를 원한다.”고 항의했다.

인천시는 전임 안상수 시장 시절인 2008년 11월 디자인·전시산업의 메카인 이탈리아 밀라노를 본떠 영종하늘도시 363만㎡에 3조 7500억원을 들여 전시장, 디자인스쿨 등 10개 기관을 조성하기로 밀라노시와 공동사업 협약을 맺었다. 밀라노 디자인시티 선도사업으로 2009년 9월 개관된 ‘트리엔날레 전시관’은 단 한 차례 전시회를 연 뒤 2010년 10월 폐쇄됐다.

인천시는 또 2009년 8월 인천에서 ‘세계환경포럼’을 주최하면서 포럼의 주기적 개최, 녹색재단 설립 등을 약속했다. 당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코호슬라 세계자연보전연맹 총재 등 참석자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천의 관심에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2년여가 지난 지금까지 세계환경포럼은 열린 적이 없다. 녹색재단 설립도 사실상 폐기된 상태다.

이 같은 행태는 송영길 시장 취임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인천시는 2010년 10월 ‘자치단체 국제환경협의회(ICLEI) 세계환경회의’를 주최하면서 회원 도시들의 생태효율성을 평가해 시상하는 ‘인천 생태 효율상’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독일 본에 본부를 둔 ICLEI가 유럽 재정위기 여파로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인천시에 상금 일부를 부담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시는 재정난을 이유로 거부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2-02-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