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시·군, 안팎으로 왜 이러나] 해외사무소는 ‘오락가락’
수정 2012-02-15 00:30
입력 2012-02-15 00:00
잦은 이전·폐쇄·부활 등 근시안적 행정 지적
그러나 전북의 중국 사무소는 애초 2003년 상하이에 개설했다가 2008년 칭다오로 이전한 지 3년여 만에 다시 이전하는 것이어서 도의 낮은 안목이 도마 위에 올랐다.
더구나 도 중국 사무소는 모기업이 있는 상태에서 운영되는 비영리 대표기구만 신규 이전 등록이 가능하다는 중국 현지법의 규제를 받고 있어 상하이 이전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또 지난해 1월 실적 부진을 이유로 폐쇄한 일본 사무소도 부활시키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 제조업체들의 해외 투자가 가속화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 때문에 도의 일본 사무소 폐쇄 조치도 성급한 판단이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까지 전북 지역에 9개 일본 기업의 투자 유치가 성사됐다. 도의 이 같은 근시안적 해외 사무소 운영은 현지 사정에 어둡고 미래 지향적이지 못한 행정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2-02-1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