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 간이정류장 설치 해주오”
수정 2012-02-16 00:00
입력 2012-02-16 00:00
전주 서남부 주민들 “3㎞ 떨어진 곳 이용 큰 불편”
15일 전주시에 따르면 효자·삼천·중화산동 등 서남부 일대는 전체 인구의 30%에 육박하는 18만여명이 사는 신흥 주거 밀집지역이다. 특히 이곳은 정읍, 김제, 부안, 고창 등지로 나가는 초입이다. 그러나 시외버스 간이정류장이 없어 주민들은 3㎞ 이상 반대 방향에 있는 완산동 간이정류장을 이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정읍 등지로 출퇴근하는 많은 시민들은 적지 않은 시간과 경비를 허비하고 있다. 주민들이 대중교통 대신 자가용을 이용하는 주요인도 되고 있다.
하지만 서남부 지역에 간이정류장을 신설해달라는 주민들의 요구는 수년째 표류하고 있다. 그 이유는 승객이 줄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택시와 시내버스 업계의 반대 때문이다. 이들 업체는 이 간이정류장이 설치되면 생존권이 위협받게 된다며 적극적인 저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전주월드컵경기장 앞을 비롯한 몇몇 간이정류장의 폐쇄까지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현재 간이정류장이 설치된 구도심 완산동 일대의 공동화가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간이정류장 허가권을 가진 전북도가 이 같은 이유를 들어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는 전주시와 주민의 거듭된 건의에 ‘택시와 시내버스 업계의 반발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며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도 관계자는 “주민 편의를 위해 신설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업계 반발뿐만 아니라 적절한 정류장 위치를 확보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의회 박진만 의원은 “전북도가 시민 편의는 뒷전인 채 업계의 눈치만 보고 있다.”면서 “소신 있는 행정을 펴지 않는다면 주민의 힘을 모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겠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2-02-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