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업계 속앓이
수정 2012-03-13 00:00
입력 2012-03-13 00:00
해군기지 찬반 충돌로 관광객 발길 끊길라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찬반 충돌이 격화되면서 제주 지역 관광업계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제주에서는 유채꽃이 만개하는 이달 중순부터 봄 성수기 관광 시즌이 본격적으로 열린다.
유채꽃 축제를 비롯해 왕벚꽃나무 축제, 한라산 철쭉제 등 상춘 관광객을 겨냥한 각종 봄 축제가 잇따라 예정돼 있다.
하지만 지역 관광업계에서는 해군기지 공사를 둘러싼 충돌이 계속되면서 혹시나 관광객들이 발길을 돌리지나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특히 해군기지 반대 주민, 활동가들이 경찰과 충돌하는 자극적인 장면이 연일 외신 등에 보도되면서 혹시라도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악영향을 미치지나 않을까 고심하고 있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외국인 관광객은 여행 목적지의 안전을 가장 중요시한다.”며 “해군기지를 둘러싼 충돌 사태가 장기화되면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해 9월 해군기지 공사장에 공권력이 투입되자 중국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에는 “한국이 제주섬을 군사화해 이웃 국가에 총과 칼을 겨누고 있다. 중국 관광객들이 제주도 관광을 거부해야 한다.”는 중국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변강연구소 뤼차오 소장의 칼럼이 실리기도 했다.
중국인 전문 H여행사 관계자는 “제주 해군기지는 미군 기지로 중국을 겨냥하게 된다는 식의 무책임하고 근거 없는 발언들이 쏟아져 안타깝다.”면서 “당장은 예약 취소사태 등이 없지만 충돌이 격화되거나 장기화되면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부담을 주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기화땐 외국관광객 유치 부담”
해군기지 문제가 이슈로 부각되면서 제주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 효과도 반감돼 버렸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 등은 지난해 11월 세계 7대 자연경관이 선정되자 올 초부터 베트남 등 동남아 등지에서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해 대대적인 홍보와 마케팅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나 최근 해군기지 문제가 불거지면서 동력이 떨어진 상태다.
김의근 제주 국제대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지난해부터 폭발적인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인 관광객 등으로 제주 관광산업이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는데 해군기지 충돌 사태가 발목을 잡지나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12-03-1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