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경기 광역버스 더 자주 온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4-17 01:02
입력 2012-04-17 00:00

서울 새달부터 ‘공차회송’ 경기도까지 무정차 운행

서울시가 출근 시간대 경기 광역버스의 배차 간격을 줄이기 위해 차고지로 돌아갈 때 정류소에 서지 않는 공차회송버스 제도를 도입한다.

‘콩나물시루’처럼 많은 승객이 탑승해 불편을 겪는 경기지역 주민의 출근길 스트레스를 덜기 위한 목적이다.

시는 다음 달부터 출근 시간인 오전 6~8시에 일산·파주·분당 등에서 출발한 일부 광역버스 노선에 공차회송버스 제도를 도입해 시범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경기 광역버스가 서울에 들어왔다가 다시 외곽으로 나갈 때 무정차해 회송시간을 줄임으로써 버스의 운행 횟수를 늘리는 제도다.

시범 운영 버스는 9408번(분당~영등포), 9401번(분당~서울역), 9707번(일산~영등포역), 9714번(파주~서울역) 등 4개 노선이다.

광역노선은 운행거리가 63~95㎞에 달해 한 차량이 서울 시내 기점을 다녀오는 시간이 최대 3시간이 걸린다.

실제로 분당 오리역에서 영등포 신길역을 오가는 9408번의 경우 2시간 58분이 소요됐다. 하지만 돌아올 때 신길역~오리역 방향 56개 정류소를 거치지 않으면 회송 시간이 30분이나 단축된다.

예를 들어 현재 오전 4시 12분과 36분에 각각 출발하는 9408번 버스가 분당으로 돌아와 서울로 다시 출발하기 위해서는 오전 7시 45분과 8시 8분이 돼야 하지만 이 제도가 도입되면 출근 승객이 몰리는 시간대인 오전 6시 59분과 7시 20분에 버스를 한번 더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출근 시간대 기존 8대를 투입하던 버스가 10대로 늘어나는 셈이다. 9401번은 14분, 9707번은 29분, 9714번은 20분 줄어든다. 배차간격도 최대 5분까지 단축된다.

시는 다만 공차회송버스 제도와 정상운행 방식을 교대로 운영해 외곽으로 나가는 시민의 불편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또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S)로 공차회송버스 다음의 후속차량을 안내하고, 공차회송버스 유리창 우측 전면에는 ‘무정차 회송(차고지행)’이란 안내문을 부착해 시민 혼란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시는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광역버스 공차회송 제도의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2-04-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