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 반납 고려해야”
수정 2012-05-22 01:12
입력 2012-05-22 00:00
인천 시민단체들 토론회… 재정위기 극복 방안 모색
21일 인천YWCA에서 열린 ‘인천시 재정 위기 극복을 위한 시민모임’에서 박준복 인천참여예산센터 소장은 “인천시 재정난의 주범은 총 2조 5000억원의 사업비가 드는 아시안게임”이라며 “시 자체적으로 해결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대회를 내려 놓아야(반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회를 정부 주관으로 개최하거나 서울시와 공동 개최하는 방안도 고려할 만하다.”며 “2주간의 잔치 때문에 발생하는 부채를 갚기 위해 인천이 15년간 허덕일 순 없다.”고 말했다.
인천의 애물단지가 된 아시안게임은 2007년 4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쿠웨이트 총회에서 유치가 결정됐다. 박 소장은 2조 1600억원이 투입되는 인천지하철 2호선의 개통 시기도 당초 계획대로 2018년으로 늦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석용 ‘공존사회를 모색하는 지식인 연대회의’ 대표도 “현재 인천시가 안고 있는 재정난을 고려할 때 아시안게임을 치러 낸다 하더라도 인천에 실질적 이익이 없다.”며 대회 반납이나 희망하는 도시에 인계할 것 등을 제안했다. 그는 “이를 위해 인천의 정확한 재정 상태 공개, 시민 동의 절차 등을 거쳐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전제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아시안게임 포기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서구 연희동에 건설 중인 주경기장(사업비 4900억원)의 현재 공정률이 21%에 이르는 등 대회 준비 절차가 깊숙이 진행돼 있다는 것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민단체들의 주장은 이해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대회 준비에 8000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등 대회를 반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대회 반납 시한은 따로 정해진 게 없다. 국제법상 강제력이 없이 반납이 가능하지만 국가 신인도 추락이 문제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2-05-2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