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하동 손잡으니 상생 보인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6-08 00:00
입력 2012-06-08 00:00
전남 광양시와 경남 하동군이 지역 경계를 넘어 지역민들의 풍요로운 삶을 위해 손을 잡고 나섰다.

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광양시 주민들과 하동군 어민들은 섬진강 재첩 구역을 놓고 마찰을 빚었다.

광양시 진월면과 하동군 광평리 어촌계 어민들은 1993년 정해진 관할 구역이 불합리하다며 20여년 만에 관리구역 소유권을 주장하는 등 자칫 지역 간 다툼으로 번질 상황이었다.

이에 두 지자체는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인 동일 생활권을 구축하고 있다는 판단 아래 공동번영을 하기로 약속했다. 지난해 11월 ‘하동·광양 공생발전 행정협의회’를 출범한 두 지자체는 그동안 수차례 실무협의와 제3차 협의회를 개최하면서 양 시·군의 쟁점 현안에 대해 의견을 정리하고 향후 대책을 마련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선 섬진강 살리기사업을 위해 ‘섬진강 수계 물 방류 확대 재건의문’을 작성해 이달 중에 국토해양부 등 관계기관에 건의하기로 했다. 5000만원을 들여 섬진강 염분 측정장치를 하류지역에 설치하는 한편 재첩어업 실태 파악 및 자원 회복사업에 대해서도 농림수산식품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경계수역 획정에 대해서도 수차례 협의한 결과 기존 경계를 원칙으로 하고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협력하기로 하는 내용의 협정서를 이달 중에 작성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구 남해고속도로 섬진강 교량 재개통을 위한 정밀안전진단을 위해 광양시에서 3억 5000만원, 하동군에서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협약을 체결하고 다음 달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섬진강 포구 80리 둘레길 조성사업과 문화관광해설사 공동워크숍 개최 및 대표 관광지 연계 테마형 상품을 개발해 내년부터는 광역 시티투어로 운행하기로 협의했다.

광양시 관계자는 “혼자 가면 빨리 갈 수 있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간다는 말이 있듯이 양 시·군이 함께 고민하고 힘을 합쳐나가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공생발전협의회가 단순히 두 도시 간의 협의체를 넘어 대한민국의 상생과 화합의 장을 열어가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양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2-06-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