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보 역행 침식으로 안전에 문제”
수정 2012-06-08 00:24
입력 2012-06-08 00:00
낙동강 특위 간담회서 주장…水公 “바닥 보호공 유실 없다”
경남도 낙동강특위(위원장 박창근 관동대 교수)는 7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입수한 수자원공사 내부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초 함안보 하류부에서 20m, 상류부에서 12m까지 세굴이 됐으며 특히 수문 바로 아래까지 10m가량 세굴이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하류 바닥보호공과 상류 물받이공까지 유실됐으며 수자원공사는 토목섬유시멘트충진(SPF) 공법으로 레미콘 차량 1000대분인 5975㎥의 콘크리트를 쏟아부었으나 유실이 없었다고 지난 3월 거짓 해명을 했다고 특위는 주장했다. 특위는 준설량이 당초 5.7억t이었는데 하천기본계획 변경 없이 4.5억t으로 줄여 물 확보량이 34% 줄고 낙동강 준설물량이 27% 준 것은 하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또 낙동강 사업 구간 298㎞ 가운데 32㎞에 걸쳐 평균 36%쯤 재퇴적이 이뤄졌다고 추정했다.
박창근 위원장은 “낙동강 사업이 전반적으로 부실하게 이뤄져 당장은 아니더라도 심각한 상황이 올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돼 국회 차원에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한 가운데 재평가 작업과 사회적 합의를 거쳐 철거·존치 여부를 포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수자원공사는 창녕함안보 세굴을 은폐·축소한 사실이 없으며 정부합동조사에서 모두 공개를 했고 바닥보호공 일부 침하가 있었으나 유실은 없었다고 반박했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2-06-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