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국가산단 연말 착공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6-14 00:56
입력 2012-06-14 00:00

외국 투자지역 절반 日기업 전용단지로 2년 조기착공·토지보상 90% 등 순항

대구 국가산업단지가 올해 착공될 전망이다.

대구시는 국가산단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대구도시공사가 오는 8월 조달청에 단지 조성공사 발주를 의뢰해 연말에 착공한다고 13일 밝혔다.

1단계 착공구간은 LH 370만여㎡, 대구도시공사 220만여㎡를 합쳐 모두 590만여㎡이다. 1단계 공사는 2016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대구 국가산단은 LH 자금난으로 2014년 이후 착공이 예상됐으나 대구도시공사가 보상 등 공사에 적극 나서면서 2년가량 시기를 앞당기게 됐다. 2단계 484만㎡는 2018년 완공 예정이지만 부지보상과 착공 일정은 잡히지 않았다. 시는 제3의 시행자를 참여시켜 2단계도 조기에 착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LH 토지 보상률은 90%를 넘어섰으며 도시공사는 다음 달 중순쯤 보상에 들어가 내년 4월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 사업에는 1조 6698억원이 투입된다.

낙동강 오염을 최소화하고 대구 지역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첨단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차세대 전자통신, 첨단기계, 미래형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등의 업종을 유치할 방침이다. 또 43만㎡는 외국인투자지역으로 지정키로 했다. 이 중 절반이 넘는 23만여㎡를 일본 기업 전용공단으로 만들 계획이다.

국가산단 개발이 완료되면 생산 유발 효과 34조원, 부가가치 10조원, 고용 창출 14만명, 임금 유발 4조원의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또 성서 1~4차 산업단지, 대구테크노폴리스, 현풍산업단지 등과 연계해 지역의 산업벨트를 새롭게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2009년 9월 최종 승인·지정한 대구 국가산단은 1999년 위천국가산단 조성 무산 이후 10년 만에, 국가산단 육성 제도가 시행된 지 36년 만에 처음으로 생긴 ‘국가 산업단지’다.

시 관계자는 “국가산단 내 순수 산업시설 용지가 성서5차산업단지의 7배 수준이어서 조성이 마무리되면 공장 용지난 해소는 물론 대기업 투자 유치도 숨통이 트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2-06-1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