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폐교위기 도심학교들, 특성화 교육으로 부활 날갯짓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7-18 00:00
입력 2012-07-18 00:00

랭귀지스쿨, 뮤직스쿨, 힐링스쿨

도심 소규모 학교들이 특성화 교육으로 폐교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학생 수가 적어 통폐합이 거론된 초등학교는 모두 11개교에 이른다고 17일 밝혔다.

이들 학교 중 달성군 가창초등학교는 지난 5월 외국어 중심 행복학교로 지정된 이후 2개월 만에 학생 수가 2배 넘게 늘어나 소규모 학교 부활의 성공 모델이다. 개교한 지 80년이 넘은 가창초는 한때 전교생 수가 1300여명이었지만 46명까지 줄었다. 외국어 중심학교로 지정되자 이달 들어 100명을 넘어섰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3~4학년의 영어수업은 주당 1시간이지만 이 학교에서는 모든 학생이 주당 6~8시간이다. 이뿐만 아니라 방과후 학교와 토요문화학교가 있고, 방학 때도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해 사교육이 필요없다.

달성군 유가초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브라스밴드와 음악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유가초도 한때 재학생이 800여명에 이르렀으나 현재는 44명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11월 브라스밴드를 조직했으며 전문강사를 초빙했다. 불과 1학기 정도 운영했지만 학생 수가 10명이 늘었다. 대구 동구 서촌초는 아토피 치유학교로 변신했다. 팔공산의 맑은 공기와 자연환경을 활용해 특성화시킨 것. 빈 교실을 목욕탕으로 개조했으며 욕조 등은 아토피 치료에 좋은 편백나무를 사용했다. 도심에서 멀어 학생들이 전학 오지는 않았지만 학부모들의 문의 전화가 잇따르고 있다.

이 밖에 시교육청은 학생 수가 100여명에 불과한 수창초와 종로초도 외국어와 과학 특성화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철구 시교육청 장학사는 “출산율 하락과 도심 공동화로 대구에 통폐합 대상 소규모 학교가 늘고 있다.”면서 “통폐합 대신 학생 수가 적은 이점을 살려 특성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2-07-1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