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목 쌓을 곳 없어… 인천항 목재대란 오나
수정 2012-07-20 00:08
입력 2012-07-20 00:00
북항 배후부지 개발로 야적장 폐쇄… 업체들 수입계약 연기
현재 야적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진중공업 소유의 인천항 북항 배후부지 임대기간이 9월 말로 끝나, 10월 이후 야적장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턱대고 수입 계약을 진행할 수 없어서다. 한진중공업은 북항 배후부지를 항만시설 및 물류단지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9일 대한목재협회에 따르면 북항 배후지에 야적장을 두고 있는 20여개 목재업체는 한진중공업으로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 야적장을 비우라는 퇴거 통보를 받았다. 협회는 또 다른 50여개 목재업체도 순차적으로 퇴거 통보를 받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목재업체들은 이처럼 10월부터 북항 배후지 야적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이달 들어 수입 거래선과 목재 수입계약을 불가피하게 연기하고 있다. 국내 원목 수입의 60%가 인천항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수입계약이 장기간 지연될 경우 대란을 맞게 된다.
목재협회는 “상황이 심각한데도 인천시가 야적장 임대계약은 기업 간의 문제라는 이유로 대체 야적장 확보 등 대책 마련에 미온적”이라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협회는 지난 2월 북항 배후지 165만㎡의 용도가 자연녹지에서 준공업지역과 상업지역으로 변경된 이후 인천시에 대체 야적장 확보를 줄곧 요구해 왔다. 원창동 로봇랜드 부지, 청라투기장, 경인아라뱃길 투기장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 등 관계기관에 건의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답변을 받아내지 못하고 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2-07-2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