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오색빛깔 테마파크 생긴다
수정 2012-07-26 00:12
입력 2012-07-26 00:00
총 10년간 2305억원 투입…관광·생태·수변·역사·휴양 5개 기능 갖춰 테마별 개발
세계에서 가장 긴 새만금 방조제(33.9㎞)가 관광 명소로 개발된다.25일 전북도에 따르면 농어촌공사가 최근 ‘새만금 방조제 명소화 사업 마스터플랜’(조감도)을 확정했다.

●1호 방조제 주변 역사·문화 테마새만금 방조제 명소화 사업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총사업비 2305억원을 투입해 1·4호 방조제 주변과 사면부 268㏊를 테마별로 개발하는 것이다. 기능별 개발 전략은 ▲관광·레저 ▲생태·문화 ▲수변·위락 ▲역사·문화 ▲생태·휴양 등 5개 테마다. 1단계 사업에서는 2014~2016년 359억원을 투입해 1호 방조제 시점부, 직소천, 1~4호 방조제 사면부에 대한 명소화 사업을 추진한다.
1호 방조제 시점부에는 역사와 문화를 테마로 한 조각공원, 상징 게이트, 기억의 마을, 어울림 가든 등이 들어선다. 부안 해창 석산과 직소천 주변에는 변산반도 국립공원과 연계해 생태습지공원, 자연 속 치유의 마을 등이 조성된다.
방조제 사면부는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와 조경 시설물이 결합된 생태·문화 공간으로 꾸며진다. 그동안 환경 파괴 논란에 휩싸였던 새만금의 친환경적 이미지를 부각시킨다는 복안이다.
4호 방조제 앞쪽 다용도 부지는 생명, 감성, 재미, 상생의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다용도 부지 54만 8321㎡에는 1137억원을 투입해 관광·레저·상업·문화시설이 어우러진 복합형 관광·레저단지를 조성한다.
전시시설인 컨테이너 하우스, 숙박시설인 재생의 마을, 수변 레저시설인 케이블파크, 어린이 테마파크, 아쿠아리움, 해양 생물 조각공원 등이 들어선다. 북가력도는 워터하우스와 휴식의 마을, 열기구 체험장을 유치해 수변 위락지로 육성한다.
●사면부는 친환경 이미지 부각
농어촌공사는 “내실 있는 방조제 명소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그동안 현장 조사, 전문가 자문, 보고회 등을 여러 차례 개최해 최종 계획을 수립했다.”면서 “공공 투자와 민자 유치로 단계적인 사업이 추진되면 새만금 방조제가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발돋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전북도 관계자는 “새만금 방조제 명소화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고 지난해부터 시작된 내부 개발이 활기를 띠게 되면 새만금지구가 동북아의 명품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2-07-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