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통영 적조주의보 재발령
수정 2012-10-06 00:10
입력 2012-10-06 00:00
다시 증식… 당분간 지속될 듯
수산과학원은 지난달 6일 모두 소멸한 것으로 파악됐던 유해적조가 다시 발생한 것은 일부 연안에 생존해 있던 코클로디니움이 영양염이 많은 담수의 영향에다 일조량이 늘면서 일시적으로 증식한 때문으로 분석했다.
남해안에는 지난 7월 27일 유해성 적조가 발생해 적조주의보 및 경보가 발령된 뒤 지난달 6일 모두 소멸된 것으로 관찰돼 적조주의보가 해제됐었다.
이번처럼 가을에 적조가 다시 발생한 것은 2000년 이후에는 2006년 10월 18일∼30일(남해∼통영), 2009년 10월 28일∼11월 15일(여수∼통영) 등 2번 있었다. 이달 들어 남해안의 수온은 21∼22도이고 염분농도는 28∼29로 표·저층 간 수온성층이 깨져 저층의 영양염이 표층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산과학원은 남해도와 통영해역의 적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산과학원은 적조주의보가 내려진 해역의 양식어업인들에게 적조피해 예방 요령에 따라 사육생물의 먹이 공급 중지와 산소공급 등 양식장 관리에 주의를 당부했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2-10-0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