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도시 대통령상 두번 받은 순천, 그 곳에 뭐가 있길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10-11 00:44
입력 2012-10-11 00:00
“1년에 두 차례 이상은 남도의 유명한 한정식을 즐기기 위해 꼭 순천에 들릅니다. 음식값도 싸고 사람들이 정도 많아 항상 포근함을 느끼는데, 도시대상이란 큰 상을 받게 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서울에서 경남 진주로 출장 가다가 전남 순천 음식을 먹기 위해 일부러 찾아왔다는 정모(48·경기 고양시)씨는 순천 하면 도시와 자연, 맛 등이 함께 어우러진 부족함이 없는 도시라는 생각부터 떠오른다고 평가했다.

전국 최초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고 4㎞에 이르는 형형색색의 갈대로 유명한 순천만의 도시 순천시가 ‘2012 도시대상’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됐다.

10일 국토해양부가 주최하고, 도시의 날 위원회가 주관한 제6회 도시의 날 행사에서 순천시가 도시대상 부문에서 영예의 대통령상에 선정돼 조충훈 시장이 기관 표창을 받았다.

순천시는 2003년 지속가능한 도시대상 대통령상 이후 9년 만에 또다시 대통령상을 받아 전국 최초로 대통령상을 두 번 받는 쾌거를 올렸다. 도시대상은 107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항목별로 1년 동안 추진한 성과에 대해 전문가들의 평가를 거쳐 선정했다.

인구 27만명의 도·농 복합도시인 순천은 서울시 면적의 1.5배 크기로 매년 300만명이 찾는 세계 5대 연안습지 순천만과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천년고찰 선암사·송광사, 주민이 실제 거주하는 낙안읍성, 광주·전남 400만명의 식수원인 주암호·상사호가 있는 도시로 유명하다.

순천시는 시민들이 편하고 행복함을 느끼기 위해서는 ‘생태와 문화’가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대한민국 생태수도 전략을 펼쳐 순천만 보전 등 환경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원·신도심 균형 발전과 주민 소통을 위해 옛 골목길이 있는 지역에 공예방·다례원·갤러리 등이 들어서는 문화의 거리를 조성하고, 각종 체험학습 등 도심 재생에 기반한 생태 문화체험 루트를 개발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전국 최초로 기적의 도서관을 유치하는 등 작은 도서관 51곳을 만들어 시민 누구나 걸어서 10분 이내에 도서관에 갈 수 있도록 했으며, 매년 공모사업을 시행해 주민 스스로 수익과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하고 있다.

조충훈 시장은 “생태와 문화를 축으로 미래형 박람회인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준비해 온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다.”면서 “자연과 도심이 조화를 이룬 살기 좋은 생태도시를 만들기 위해 모든 시민들이 한마음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순천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2-10-1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