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조선·해양연구 신성장 돛
수정 2012-10-30 00:00
입력 2012-10-30 00:00
R&D 특구지정… 年 100억 국비
시는 지식경제부가 부산 강서구 일원 등 14.1㎢를 ‘부산연구개발 특구’로 지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부산특구는 앞으로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그린해양기계 등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게 된다. 특구 구역은 4개 지구로 ▲R&D 융합지구 3.2㎢ ▲생산거점지구 2.06㎢ ▲사업화촉진기구 4.2㎢ ▲첨단복합지구 4.64㎢ 등이다.
특구에는 매년 100억원 수준의 국비가 지원되며 이는 특구 내 대학, 연구소, 기업의 기술을 이전하거나 사업에 사용된다.
연구소기업과 첨단기술기업에는 국세인 소득세·법인세 3년간 면제(이후 2년간 50% 감면), 취득세·등록세 전액 면제, 재산세 7년간 면제(이후 3년간 50% 감면)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에 따라 시는 국내외 첨단기업의 특구 유치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2022년까지 50개 이상의 기업을 육성하고 1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을 유치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1조 6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2만 2000여명의 취업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첨단복합지구의 조성과 기업 입주가 완료되는 10년 동안 57조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영활 시 경제부시장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국가출연연구소의 첨단 기술을 부산 기업이 이전받을 수 있는 계기도 마련돼 국가출연연구소가 부족한 지역 기반을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D 특구는 신기술을 창출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는 동시에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조성된다. 2005년 대덕연구단지를 대덕특구로 처음 지정했으며 지난해 광주와 대구가 추가 지정했다.
하지만 경남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추진해 온 경남도가 반발하고 있다. 도는 연구지정요건에서 경남이 정부 R&D 투자 4위, 기업핵심부설연구소 3위 등 연구개발역량과 산업기반이 동남권에서 가장 우수하지만 특구 지정이 안 된 것은 정부 정책의 일관성 및 공개성 등에서 부당한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2015년까지 추가 지정이 없다던 정부가 도와는 한 차례의 공유나 공개논의조차 없었던 것도 공정성을 상실했다는 것이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2-10-3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