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재해 땐 다른 화장장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11-02 00:34
입력 2012-11-02 00:00

서울·고양·부평·수원 MOU

앞으로 서울과 경기·인천에 사는 주민들은 재난·재해 등으로 거주 지역에서 화장을 치를 수 없을 때 다른 지역의 화장장을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시설공단은 경기도, 인천시와 ‘수도권 화장시설협의회’를 결성하고 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장사문화 개선을 위한 업무교류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3개 시도가 운영하는 화장시설은 서울시설공단 산하인 서초구 원지동 서울추모공원과 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울시립승화원, 인천시설공단 소속인 부평구 부평2동 인천가족공원, 수원시설공단 소유인 영통구 하동 수원시연화장 등이다.

하루 평균 처리량을 보면 화장로 23기를 갖춘 서울시립승화원이 95구, 인천가족공원(20기) 59구, 서울추모공원(11기) 45구, 수원시연화장(9기)이 32구에 이른다. 모두 합쳐 하루 평균 231구의 화장이 치러진다.

이들 4곳은 협약에 따라 다른 지역 화장장에 대한 시설운영·서비스 개선 등 우수 사례와 장사문화 개선 및 선진화 관련 정보를 공유해 상생·발전을 꾀한다.

특히 유사시 해당 지역 화장장을 예약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경우 긴밀한 협업체계를 가동해 불편을 없애도록 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2-11-0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