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고준위 핵폐기장 후보지 철회하라”
수정 2012-11-09 00:00
입력 2012-11-09 00:00
교과부, 부안·기장·양양 등과 제안
서천군과 주민들은 8일 군청에서 “주민 의견 수렴 없이 비인면을 후보지로 넣은 것에 분노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정부의 사과와 해명을 촉구했다. 이어 “서천은 세계 최고의 생태도시를 군정 목표로 삼고 있다. 핵폐기물처리시설은 이런 지역정서와 전혀 맞지 않는다.”며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교과부는 이와 관련, 연구용역을 실시했고 연구결과 서천과 함께 전북 부안군, 부산 기장군, 강원 양양군 등 4곳이 후보지로 제안됐다. 이런 사실은 지난달 8일 국감에서 밝혀졌다.
서천군은 이틀 뒤 교과부에 사실 여부를 묻는 공문을 보냈고, 교과부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군은 “연구보고서에 후보지로 올라 있다.”고 명확한 답변을 요구했다.
고준위 핵폐기물은 핵연료를 사용하면서 나오는 것으로 방사능 소멸기간이 10만~20만년에 달해 세계적으로 운영되는 곳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저준위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원이나 보수요원이 사용했던 장갑, 덧신, 가운 등으로 방사능 소멸기간이 200~300년이다. 이는 경주에 건설돼 2010년 말부터 운영 중이다.
국내 핵폐기물처리장은 1989년 영덕, 90년 안면도, 91년 영일, 94년 양산·울진, 95년 굴업도, 2003년 부안 등이 후보지로 선정됐으나 주민 반대로 무산됐다.
나소열 서천군수는 “주민 참여가 없는 사용 후 핵폐기물 관리정책은 모두 실패했다.”고 말했다.
서천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2-11-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