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어도 너무 멀어… 서민 울리는 대구 임대주택
수정 2013-01-04 00:00
입력 2013-01-04 00:00
외곽에 위치… 대중교통 불편, 자가용 없는 서민엔 ‘박탈감’
이 중 삼덕 임대아파트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심부에서 직선거리로 8㎞에서 30㎞나 떨어져 있다. 특히 금호지구는 도시철도와 멀리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버스도 다니지 않는 곳이다. 옥포지구도 대중교통 접근성이 현저히 낮고 주변에 편의시설도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입주한 서재, 칠곡 등지의 임대아파트들도 대중교통망에서 2㎞ 이상 떨어져 있다.
2003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임대주택 150만호 건설 계획에 맞추다 보니 땅값 싼 곳을 입지로 정했기 때문에 벌어진 현상이다.
이에 대해 지역 시민단체들은 “저소득층이 시 외곽에 거주할 경우 교통비가 큰 부담이 된다. 최근 느는 노인 가구 및 장애 가정을 감안하면 교통 접근성이 취약한 점은 주거 복지에도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호지구 임대 입주 예정자인 박모(52)씨는 “도심과의 거리 격차는 일종의 유배지 같은 인상을 심어줘 심리적 박탈감까지 느끼게 한다”면서 “저소득층일수록 도심 인근에 살아야 교통 및 복지 혜택을 쉽게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저소득층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임대주택을 선택하고 있다. 시내에 임대주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분양된 대구 북구 지역 임대아파트의 경우 초기 신청률이 130%에 이르렀다.
시는 입주가 시작되면 도로 확충과 시내버스 노선 조정 등을 통해 입주자의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시 윤용섭 건축주택과장은 “임대아파트를 건립하면 1가구당 8000만원 정도 적자가 난다. 그러다 보니 그린벨트 등 싼 부지를 매입한 뒤 용도 변경해 짓고 있다. 서민의 불편을 들어주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3-01-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