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기업 특선] “냉·난방비 20% 절감 황토벽돌 세계 1등 목표로 도전 계속”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2-04 00:00
입력 2013-02-04 00:00

한삼화 ㈜ 삼한C1 회장

“주거 및 건축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벽돌을 만드는 데 혼신의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한삼화 ㈜ 삼한C1 회장
한삼화 ㈜ 삼한C1 회장
삼한C1 한삼화 회장은 3일 “대한민국 벽돌 업계 1등에 만족하는 ‘우물 안의 개구리’가 아닌 세계 1등을 목표로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회장은 “1990년대 초 매출액이 30억원에 불과할 때 160억원을 투자해 세계 벽돌업계 최고 수준의 외국 설비를 들였다”고 소개한 뒤 “선진기술 도입 없이는 세계를 상대로 싸울 수 없고, 불량률도 떨어뜨릴 수 없다는 생각에 적극 투자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한 회장은 또 당시의 과감한 투자가 세계 벽돌 업계에서 알아 주는 지금의 회사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벽돌 산업은 매출액에 비해 인프라 투자가 다른 산업보다 많은 장치산업으로 대기업들도 진출을 꺼린다는 것이다.

그는 “삼한 제품은 자연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인 흙· 물· 불· 바람을 이용해 생산돼 환경 친화적인 건축제품으로 인정받았다”면서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연구원의 폐기물 공정시험에서 납과 카드뮴, 수은, 비소, 구리, 시안 등 인체 유해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정부의 납 등 허용 기준치 0.005~3㎎/ℓ를 감안하면 획기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수한 제품의 원천이 바로 ‘사람에서 나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첨단 기계를 사용하면 생산성 향상, 제품의 다양화, 품질의 고급화가 가능하지만 아무리 좋은 기계라도 이를 다루는 사람이 바른 생각을 하지 않으면 제품에 하자가 생기기 마련이다”라며 “그래서 직원들의 인성 및 직무 교육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황토 벽돌은 콘크리트 등 다른 건축 자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장점이 많다고 소개했다. “시멘트는 라돈가스 등 각종 유해 화학물질을 배출하지만 황토는 원적외선을 뿜어내고 자연습도조절, 악취제거, 항균작용 등 탁월한 효과가 있다”면서 “특히 황토벽돌은 무엇보다 단열성과 축열성이 탁월해 이를 이용해 건물을 지을 경우 냉·난방비가 다른 건물에 비해 20% 이상 절감된다”고 소개했다.

한 회장은 “이제 삼한의 기술력은 세계 정상이 됐다”면서 “세계에서 시멘트 거주 비율이 가장 높은 우리나라에 몸에 좋고 튼튼한 황토벽돌을 많이 보급해 나가고 싶다”고 희망했다.

그는 또 “로마·르네상스 시대 궁전 등 유럽의 많은 건축물들이 한결같이 돌과 벽돌로만 지어졌듯이 국내에도 앞으로 이런 건축물들이 많이 생겨 났으면 한다”고 소망했다.



예천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3-02-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