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8일, 대구 지하철 참사 10년… 192명 생명 앗아간 그날 이후
수정 2013-02-08 00:00
입력 2013-02-08 00:00
멈춰버린 시간… 감춰버린 현실…
192명이 숨지고 151명이 다친 대구 지하철 참사가 오는 18일로 발생 10주년을 맞는다. 사고의 기억은 멀어지고 있지만 당시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다. 일부 유족과 부상자들은 당시 악몽 때문에 병원 치료를 받는 등 고통의 터널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유족 간 갈등도 여전하다. 이로 인해 10주년 추모식이 동시에 두 곳에서 열리게 된다. 희생자대책위와 유족회는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 대구 지하철노조 등과 함께 18일 오전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추모식을 거행한다. 같은 날 비슷한 시간 참사비상대책위원회와 부상자대책위는 경북대 글로벌프라자에서 추모식을 열기로 했다. 이는 위령탑 조성 등 추모사업 방식을 놓고 피해자 단체들이 입장 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연고를 찾지 못한 시신 6구는 경북 칠곡군 지천면 대구시립공원묘지에 가매장된 채 10년째 편히 눈을 감지 못하고 있다. 이 중 3구는 DNA조차 추출되지 않을 정도로 훼손이 심해 신원 확인이 되지 않았고 나머지 3구는 찾는 이들이 없었다. 사고 직후 이 시신들의 연고자라며 사고대책 본부를 찾았던 이들이 수십명에 달했다. 현재는 아예 문의조차 없다. 6구는 오는 6월이면 화장된다. 관련 법률에 따라 무연고 시신 및 유골은 공동묘지에서 10년간 가매장됐다가 연고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화장 후 뿌려지게 돼 있다. 이들 무연고자에게 돌아가기로 돼 있던 1인당 2억 4000만원의 배상금은 사고 후 3년이 지난 시점에서 일단 국고와 시금고에 반납된 상태다. 국민 성금에서 주는 특별위로금 1인당 2억 2000만원은 오는 12월까지만 시금고에 보관된다. 연고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대구시 등이 협의를 거쳐 사용처를 결정한다.
지하철 참사는 수백명의 희생으로 국민이 모두 안전의식을 새롭게 다지는 계기가 됐다. 전국 지하철의 객차 내장재가 방염처리됐고 안전장치도 대폭 강화됐다.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도 문을 열어 안전 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8년 12월 문을 연 안전테마파크에는 지난해까지 모두 53만 7000여명이 찾았다.
시민단체와 시민들은 10주년를 맞아 추모위원회를 구성, 잊혀져 가는 참사를 되새기기로 했다. 15~19일을 추모기간으로 정하고 희생자 명복을 비는 행사를 마련한다. 추모위 관계자는 “과거를 회상하는 추모를 넘어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생명의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3-02-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