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녹조관리 “유비무환”
수정 2013-05-29 00:18
입력 2013-05-29 00:00
경보체계 5단계로 세분화… 발령기준·모니터링도 강화
시는 이를 통해 과거보다 1주일가량 녹조에 빨리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냄새물질 농도(10∼500ng/ℓ)에 따라 예비주의보→냄새주의보→냄새경보→냄새대발생 4단계로 발령되는 냄새경보제를 새로 만들어 수돗물 악취를 따로 관리한다.
단계별로 조류차단막 점검부터 분말활성탄 투입 등을 통해 대응하게 된다.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도 기존 클로로필a와 남조류세포수가 동시에 2회 연속 기준치를 웃돌 때에서 동시에 1회 초과하는 경우로 강화했다.
한강 상류의 조류 모니터링 지점도 평상시 주 1회 3곳, 발생우려 땐 주 1회 7곳, 발생 땐 주 2회 이상 12곳으로 차차 늘린다.
서울시 도시안전실 정미선 수질대변인은 “지난해 폭염이 지속돼 2008년 7월 이후 4년 만에 한강에 조류주의보가 발령됐고 올해도 무더위가 예상돼 철저한 사전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예방책을 통해 시민들이 수돗물에 대한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잠실수중보 상류 구간에 15일간 조류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2000년부터 현재까지 한강 서울구간에서 여섯 차례 조류주의보가 발령됐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2013-05-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