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촉석루 다시 국보로”
수정 2013-06-20 00:26
입력 2013-06-20 00:00
6·25전쟁 때 불탄 뒤 재건…시민단체 서명운동 등 진행
불탄 뒤 재건축됐다는 이유로 국보에서 해제된 진주 촉석루(矗石樓)를 다시 국보로 지정하기 위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추씨는 진주문화원, 하동문화원, 진주성지킴이 등 지역 문화기관·단체와 함께 촉석루 국보 지정을 위한 서명운동도 벌이고 있다. 이번 주에 1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문화재청으로 보내 국보지정을 촉구할 계획이다.
고려 공민왕 14년(1365년) 때 건립된 촉석루는 밀양 영남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으로 알려졌다. 1948년 국보 276호로 지정됐으나 6·25전쟁 때 폭격으로 불에 타 파괴돼 1956년 국보에서 해제됐다.
현재 촉석루는 1957년 이승만 대통령이 진주를 방문했을 때 시민들로부터 재건 요청을 받고 국비를 지원해 1960년 복원한 것이다. 복원된 촉석루는 원형이 파괴되고 재건됐다는 이유로 일반건축물로 남아 있다 1983년 문화재 가운데 등급이 가장 낮은 지방문화재 자료로 지정됐다.
국보 1호인 숭례문은 2008년 방화로 소실된 뒤 복원됐으나 국보를 그대로 유지했다. 밀양 영남루도 1844년과 1957년 화재와 폭우로 각각 중건했으나 보물 문화재로 유지됐다.
추씨는 “촉석루는 복원 당시 목수계의 정승으로 불리던 임배근 도편수와 인간문화재 고택영 대목장을 비롯한 당대 최고의 문화재 건축 기술자 등이 참여해 원형 그대로 재건됐다”면서 “국보로 다시 지정하는 것은 당연하고 형평성에도 맞는다”고 강조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3-06-2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