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기업 특선] “기술력 바탕 차별화된 제품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
수정 2013-06-24 00:00
입력 2013-06-24 00:00
오충건 킹스정보통신 대표

오충건 킹스정보통신㈜ 대표는 23일 최근 출시한 모바일 보안솔루션 ‘팜박스’가 자체 기술력으로 일궈낸 성과라고 설명하면서 앞으로의 포부를 이같이 밝혔다.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IDC)는 2010년 4억 700만 달러였던 시장 규모가 2015년에는 190억 달러로 급등하는 등 모바일 보안시장 규모가 비약적인 발전을 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에서도 연간 20% 이상의 성장이 기대된다.
“누구든지 생각은 할 수 있었습니다. PC에선 이미 적용되는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다만 그들이 모바일 보안 시스템 시장을 미처 크게 보지 못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 대표는 “국내의 유명 전자회사가 스마트폰 하드웨어에서 업무영역을 분리해 보안조치를 한 시스템은 있었지만 소프트웨어로 가상영역을 만들어 보안조치를 한 솔루션은 팜박스가 처음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새롭게 기획 및 개발한 제품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는 오 대표는 “큰 욕심을 부리지 않고 단계별로 차근차근 걸어온 게 회사를 이만큼 끌어올린 것 같다”고 말했다.
옛 현대전자(현 SK하이닉스) 출신인 그는 “기존 모바일 보안제품과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면서 “현재 25명인 연구인력을 지속적으로 늘리는 등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도 게을리 하지 않겠다”고 했다.
“지난해까지는 연평균 40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렸으나 팜박스 개발로 향후 적지 않은 매출 상승이 기대되고 있다”면서 “직원들과는 큰 욕심 부리지 않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서로 윈윈하는 관계를 구축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했다.
청년 취업난 문제와 관련해서는 “가장 쉽게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고, 앞으로도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가 소프트웨어 개발부문“이라며 이를 위한 정부 당국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3-06-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