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매립지 장마철 ‘수해 쓰레기’ 비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6-25 00:00
입력 2013-06-25 00:00

폭우에 반입량 늘고 악취 고통, 소각 불가능해 해결방법 없어

장마철 수해 폐기물로 인해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 인근 악취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장마철에는 매립지에 반입되는 쓰레기가 급증하는 데다 젖은 쓰레기는 쉽게 썩어 악취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24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 따르면 집중호우가 심했던 2011년 8월 장마 쓰레기가 2만 1299t 발생했다. 7월에는 757t에 불과했다. 전달에 비해 무려 28배 늘어난 것이다.

또 9월 2만 1356t, 10월 1만 2053t이 발생하는 등 2011년에만 5만 5465t의 수해 폐기물이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됐다. 수해 쓰레기는 한꺼번에 처리가 불가능해 두세 달에 걸쳐 매립지에 반입되는 게 보통이다.

이에 따른 악취 민원도 늘어나 7월 30건에 그쳤던 민원이 8월 150건, 9월 409건으로 급증하는 등 매립지 주변 주민의 고통이 이어졌다. 수도권매립지는 지속적인 관리로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골프 종목을 매립이 끝난 제1매립장에 지어진 골프장에서 치르게 됐을 정도로 환경이 개선됐다. 하지만 수해 쓰레기만 들어오면 이미지가 구겨진다.

지난해에도 장마철에는 쓰레기가 늘어났다. 수해 쓰레기를 별도로 분류하지는 않았지만 전체 반입 폐기물이 6월 32만 1253t, 7월 30만 3968만t으로 지난해 월평균 27만 2579t을 넘어섰다.

수해 폐기물의 문제점은 사실상 소각이 불가능해 전량을 매립 처리하고 있어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데다 이를 억제할 현실적 방안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토사와 섞인 가전제품 및 대형 폐기물이 함께 반입될 가능성도 커 매립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에 매립지공사는 수해 쓰레기에 대한 대책을 강화하고 나섰다. 공사는 반입 단계부터 수해 폐기물을 사업장 쓰레기로 구분하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입 즉시 매립할 방침이다. 아울러 반입 당시 악취가 심하면 아예 반입을 거부하기로 했다.

또 수도권지역에 집중호우가 예상될 경우 ‘수해 폐기물 대응반’을 가동하는 등 비상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하지만 2011년처럼 한 달 사이 2만t이 넘는 수해 폐기물이 몰리면 매립 처리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매립지공사 관계자는 “수해 쓰레기로 악취 등 환경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방자치단체도 폐기물 분리배출 등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3-06-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