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학교 인조잔디 철거지원 ‘0’
수정 2013-07-10 00:28
입력 2013-07-10 00:00
2004년부터 전국 1580곳 설치…납·발암물질 등 기준치 초과
한때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각급 학교 운동장의 인조잔디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9일 교육부와 일선 교육청에 따르면 인조잔디는 2004년부터 각급 학교에 깔리기 시작했다. 모래가 날리는 흙 대신 푹신한 잔디 운동장에서 학생들이 뛰어놀도록 한다는 취지였다. 최근까지 시·도교육청과 자치단체가 국민체육진흥기금, 지자체 예산 등을 투입해 전국 1580개 학교에 인조잔디를 설치했다.
그러나 인조잔디를 푹신하게 만들기 위해 뿌리는 충전제가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무 알갱이인 충전제에서 발암물질인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s)나 납 성분이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돼 물의를 빚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조사 결과 부산 다송중의 인조잔디에서는 납 성분이 기준치(㎏당 90㎎)의 98배인 8800㎎ 검출되기도 했다. 전주 전일고에서는 다환방향족 탄화수소가 기준치(10)의 3.6배인 36.1이 검출됐다.
이같이 인조잔디의 위해성 논란이 일고 있으나 이를 걷어내는 데도 상당한 예산이 필요해 일선 학교들이 고충을 겪고 있다.
전북 지역의 경우 2005년부터 5억원을 들여 48개 학교 운동장에 인조잔디를 설치했으나 올해 7곳이 내구연한을 맞았고 내년에는 3곳, 내후년에는 11곳이 내구연한을 초과하게 된다.
하지만 내구연한이 지난 인조잔디를 철거하는 데 1곳당 4000만원의 예산이 필요해 일선 학교들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운동장 인조잔디의 내구연한이 지난 곳은 전국 236곳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인조잔디를 깔기만 했지 교체하거나 철거하는 지원책은 마련되지 않았다”면서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보수비와 철거비를 지원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전북교육청은 위해성 논란이 일고 있는 인조잔디를 학교 운동장에 더 이상 깔지 않고 내구연한이 지난 인조잔디는 모두 걷어내기로 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3-07-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