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맛 들인 전주 한옥마을… 슬로시티 재심 ‘비상’
수정 2013-08-22 00:18
입력 2013-08-22 00:00
음식점 55곳·커피숍 28곳·숙박시설 68곳 등 상업시설 ‘빼곡’
21일 전북 전주시에 따르면 한옥마을은 2010년 11월 국내에서 7번째, 세계적으로는 133번째로 슬로시티 회원국에 이름을 올렸다. 인구 5만명 이상 도시 가운데 슬로시티 지정은 세계 최초여서 그 의미를 더했다.
그러나 최근 한옥마을이 관광명소로 떠오르면서 상업시설이 무분별하게 들어서 슬로시티의 본질이 점차 변질되고 있다. 한옥마을에는 음식점 55곳, 커피숍 28곳, 전통찻집 17곳, 공예공방 70곳, 숙박시설 68곳 등 305곳의 상업시설이 들어서 성업 중이다. 조용하던 한옥마을의 관광지화, 상업화로 이곳에서 살고 있는 원주민들의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한옥마을이 2015년 슬로시티 재인증 심사에서 퇴출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2007년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로 지정된 전남 담양 창평, 완도 청산도, 장흥 유치·장평, 신안 증도 등 4곳 가운데 장흥, 신안이 재인증심사에서 탈락하거나 보류됐다. 상업화와 관광객 증가에 따른 환경 보전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슬로시티 재인증을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변경, 상업적 기능의 확산을 방지하고 지역 주민의 거주 환경을 보호해 한옥마을의 고유성과 이미지를 보호하기로 했다.
또 한옥마을과 조화된 건축을 유도하기 위해 건축물의 높이와 층수를 제한하고 대문과 담장의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관리와 운영 정책도 개선해 건전한 상업활동을 유도할 계획이다.
전주시는 “어렵게 지정된 슬로시티 자격을 잃지 않도록 상업화 속도를 늦추고 고유성을 지키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슬로시티 재인증 심사는 5년마다 실시된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3-08-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