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곡지구에 여의도공원 2배 식물공원 만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8-22 00:18
입력 2013-08-22 00:00

50만㎡ 규모 2016년말 완성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대한민국을 대표할 도시형 식물 공원(Botanic Park)이 조성된다. 여의도 공원의 두 배 크기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는 마곡·가양동 일원에 전체 면적 50만 3431㎡ 규모의 ‘서울 화목원(花木園)’을 2016년 12월 준공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시는 화목원이 무엇보다도 도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한편, 서울을 더욱 푸르게 가꿀 ‘가드닝 문화’ 전파의 거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시 온실, 식물도서관, 가드닝센터 등 3개 건물로 이뤄진 랜드마크 ‘식물문화센터’가 연면적 1만㎡ 규모로 지어진다. 이곳은 전시, 교육, 전망대, 공연, 연주, 원예, 체험, 판매 등이 집약된 공간이다. 여러 주제의 공원도 조성돼 다양한 가드닝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화목원은 식물문화센터가 들어서는 식물원과 열린숲마당, 호수공원, 생태계 변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생태천이원으로 나뉜다. 겸재 정선의 그림 ‘종해청조(宗海廳潮)’에 담긴 옛 풍광을 재연한다는 관점에서 인공 시설을 최소화하고, 물 재생센터의 재생수와 빗물을 호숫물로 활용하는 등 자연적 요소가 강조된다. 6만㎡ 크기 식물원은 미래 자원 식물과 약초식물, 자생종 등 5000여종을 보유하게 된다. 국립수목원(3344종)을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2028년까지 1만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인천공항철도, LG문화센터와 담 없이 연결되는 잔디광장인 열린숲마당에는 시민, 기업이 유목을 기르며 소목이 될 때까지 관찰하고 기부하는 양묘장이 들어선다. 양천길 남쪽은 습지 생태 호수로, 북쪽 저류지는 생태천 중심 호수로 조성된다. 서쪽 상업시설 인근엔 물놀이 공간이 생긴다.

한강 및 궁산과 이어지는 생태천이원은 자연성을 최대한 살려 다양한 수생 식물과 곤충, 동물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꾸며진다.

SH공사가 1533억원을 투입한다. 시는 2008년 4300억원을 투입하는 워터프런트를 계획했다가 이견에 부딪혀 2011년 방향을 바꾼 뒤 박원순 시장 취임 뒤 도시형 식물 공원 조성으로 가닥을 잡았다.

박 시장은 “세계의 많은 도시가 공원을 통해 도시 변화를 촉진하는 것과 같이 서울 화목원도 100년을 바라보고 계획했다”며 “새로운 유형의 녹색 심장으로 조성해 아시아 최고 보타닉 파크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8-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