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제 저항성 잡초 경기 남부 확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8-23 00:34
입력 2013-08-23 00:00

밭뚝외풀 등 3종 새로 발생

경기 남부지역 논에 제초제 저항성을 가진 잡초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같은 성분 제초제를 해마다 계속 사용하면서 그 제초제에 내성이 생겨 죽지 않는 잡초다.

도 농업기술원은 6월 25일부터 지난달 15일까지 수원·용인·안산·평택·시흥·이천·안성·화성·광주시, 여주·양평군 등 남부 11개 시·군의 논 60여㏊(200필지)를 대상으로 잡초 분포를 표본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밭뚝외풀과 마디꽃, 올미 등 제초제 저항성 잡초 3종이 새로 발생했으며 기존에 알려진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도 증가했다. 1991년 19.32g, 1995년 5.95g, 2000년 3.06g, 2005년 2.83g 등으로 감소하던 ㎡당 논 잡초 발생량도 저항성 잡초 증가로 이번 조사에서는 3.51g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농기원은 농가에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를 계속 사용하면서 이 계통에 저항성을 가진 잡초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제초제는 농가 사용량의 70%에 이른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를 예방하려면 써레질 후 모내기 3~5일 전에 1차로 이앙 전 처리제를 뿌리고 모내기를 한 지 10~15일 뒤에 2차로 ‘메페나셋’, ‘펜트라자마이드’ 등이 혼합된 제초제를 뿌려야 한다고 도 농기원은 밝혔다. 제초제를 뿌린 뒤에는 논물을 3~5㎝ 깊이로 최소한 3일간 유지해야 한다. 임재욱 도 농업기술원장은 “벼농사는 잡초와의 전쟁이다. 2~3년 주기로 제초제를 바꿔 사용하는 등 올바른 제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농민교육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3-08-2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