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원 마른 울산, 물값 이중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9-10 00:20
입력 2013-09-10 00:00

낙동강 원수 끌어와 사용… 한달 물이용 부담금만 6억

올여름 극심한 가뭄으로 상수원 고갈을 겪고 있는 울산이 낙동강 원수 구입에 따른 물이용 부담금까지 지급하면서 물값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울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 6월부터 지난달까지 계속된 가뭄에 지난달 13일부터 낙동강 원수를 끌어와 사용하면서 물이용 부담금이 1개월도 안 돼 5억 7600만원에 이르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식수원인 대곡댐·사연댐(저수율 22.3%)과 회야댐(저수율 53%)의 저수량이 크게 낮아 낙동강 원수 사용량을 계속 늘리고 있다. 지난달 13일 하루 6만t을 받기 시작한 데 이어 같은 달 29일부터는 하루 16만t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상수도사업본부는 낙동강 원수와 기존 상수원 물을 합쳐 매일 30만t가량의 수돗물을 시민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울산의 하루 평균 수돗물 사용량은 32만~33만t(여름철 최대 39만t)에 이른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원수 비용에다 물이용 부담금까지 내야 하는 이중고를 안고 있다. 시가 한국수자원공사에 지급하는 낙동강 물 이용부담금은 t당 160원으로 현재까지 360만t을 사용해 5억 7600만원의 부담금을 내야 한다. 여기에다 낙동강 원수의 수질이 나빠 울산지역 2개 정수장에서 약품 처리비용 5700여만원(t당 16원)이 추가로 들어가고 있다. 시는 가뭄이 심했던 2011년 30억원(1660만t)의 물이용 부담을 낸 데 이어 지난해에도 4억원(230만t)을 냈다.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낙동강 원수를 받아 놓지 않은 상황에서 가뭄이 더해지면 수질이 악화돼 더 큰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댐 수위를 유지하려고 낙동강 원수를 계속 받고 있다”면서 “태풍이 오더라도 상당한 양의 비가 내리지 않으면 연말까지 낙동강 원수를 계속 구입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3-09-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