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할머니 편안하게” 고령자 공동생활마을 본격화
수정 2013-09-24 00:06
입력 2013-09-24 00:00
경북 영주·전북 순창 등 4곳 217억 들여 식당 등 조성
열악한 환경의 농촌 고령자들이 혼자 사는 외로움과 각종 생활 불편을 덜 수 있는 마을이 시범 조성된다.
경북도 제공
지역별로 내년까지 국비 등 40억~73억원씩 총 217억원을 들여 고령층에 적합한 공동 생활홈, 마을카페, 마을식당 등을 조성한다. 주택 개량과 마을 정비, 경관사업도 시행한다.
특히 공동 생활홈은 기존 마을회관과 경로당을 원룸 형태의 공간으로 리모델링해 혼자 사는 노인들이 한 곳에 모여 살 수 있도록 꾸며진다. 프라이버시 존중을 위해 생활의 독립성은 최대한 보장하기로 했다. 이곳에는 주거뿐만 아니라 의료 및 복지까지 연계하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할아버지방, 할머니방, 공동놀이 공간 등도 마련해 마을 중심 시설로 활용토록 한다. 공동 생활홈은 일본 등 선진국에서 운영 중이다. 국내에선 충남에서 마을회관이나 경로당을 활용해 난방비 등을 지원하고 마을 독거노인 등이 더불어 살도록 하고 있으나 이번에는 한발 더 나아가 의료 및 복지까지 연계한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이 사업은 지역의 특수성이 최대한 반영된다. 주민 80% 이상이 사과 농사를 짓는 영주 두산마을은 인근의 국립 백두대간테라피단지와 연계한 경관 보전에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빈집과 부속 건물 53채를 철거하고 35채의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 또는 개량한다. 마을회관과 공동 생활홈, 소공원 등은 새로 조성된다. 이 사업은 지금까지 농촌 개발이 도로·상하수도 정비, 마을회관 건립 등 기초 기반시설 제공에 치중되며 고령인 농민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해 보완한 것이다. 시범 사업 결과에 따라 2015년부터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최웅 경북도 농수산국장은 “경북형 공동생활형 농촌마을 모델을 개발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3-09-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