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해평광역취수장 같이 쓰자” 구미 “싫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0-16 00:20
입력 2013-10-16 00:00

대구 취수원 이전 3년째 제자리

대구의 숙원사업인 취수원 경북 구미 이전 문제가 3년째 지지부진하다.

대구시가 취수원 구미 이전을 추진한 것은 2010년 8월. 1991년 페놀오염 사고를 비롯해 일곱 차례에 걸쳐 상수원인 낙동강에 유독물 오염사고가 일어나자 아예 취수원을 상류인 구미시 도개면 일대로 옮기기로 했다. 이 구상이 발표되자 구미시와 구미 지역 시민단체들은 “갈수기 유지수 부족에 따른 하천 생태계 파괴와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에 따른 주민 재산권 침해가 우려된다”며 강력히 반대했다. 여기에다 2011년 7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비용편익분석조사에서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와 취수원 이전 추진이 잠정 중단됐다. 하지만 대구시는 지난해 9월 구미에서 불산 누출사고가 발생하는 등 낙동강 수질 오염 우려가 불거지자 취수원 이전 문제를 다시 들고나왔다. 애초 취수원 이전 예정지 대신 13㎞ 하류인 해평광역취수장으로 위치를 변경, 관로 매설 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내놓았다.

대구시는 해평광역취수장이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이미 지정돼 있어 주민 재산권 피해도 없고 수량도 4대강 사업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변경 이유로 들었다.

국토교통부도 이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국토부가 구미와 김천에 식수원과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해평광역취수장의 용량을 늘려서 대구는 물론 성주, 고령, 칠곡 등 대구권의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미 지역 일부에서 우려하는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부족은 대구권에 공급할 생활용수를 단계적으로 늘리고 해평광역취수장의 시설을 개량하거나 확장하면 아무런 문제도 없다는 것. 구미의 상수도관 교체 비용과 산업단지 인프라 건설비를 대폭 지원하고 각종 수자원 사업에도 혜택을 준다는 게 국토부의 입장이다.

이에 대해 구미시는 부정적이다. 해평광역취수장을 대구의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4대강 사업이 마무리된 지 1년여밖에 되지 않아 수량이 충분한지 단언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여름철에 녹조까지 발생하는 등 환경변화가 심한 만큼 취수원 이전 논의를 지금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구미시 관계자는 ”앞으로 몇 년 정도 수질이나 환경변화 등을 지켜보고 취수원 이전을 논의해야 한다. 현재 대구도 해평광역취수장과 같은 낙동강 물을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데 3500여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들여 이전해야 하는지도 따져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3-10-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