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해상 실크로드 개척 해양 관광레저 중심 도시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0-26 00:02
입력 2013-10-26 00:00

김충석 여수시장 인터뷰

“해양문화를 창조하는 선두주자로서 해양을 넘어 대륙으로 뻗어나가는 세계화의 거점이 돼 지구촌 상생과 공동 번영에 이바지하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김충석 여수시장
김충석 여수시장
김충석 전남 여수시장은 25일 이같이 말하며 해상 실크로드 개척으로 여수를 남해안 중심 도시로 만드는 꿈을 꾸고 있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에 자신감을 얻은 김 시장은 잇따라 국제행사를 여는 등 역량을 쌓아 2020년까지 전 세계에서 한번 와 보고 싶은 ‘국제 해양 관광 레저 스포츠 교육 문화 수도’ 여수를 만들어 가는 데 열정을 쏟고 있다.

이러한 국제행사 가운데 하나가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여수에서 열린 ‘제8회 실크로드 시장단 여수포럼’이다. 30개국 70개 도시 시장단과 전문가들이 참석해 세계 4대 미항 도시인 여수의 매력에 푹 빠졌다. 실크로드 포럼은 지난해 11월 터키에서 열린 제7회 포럼에서 8개국 도시와 치열한 경합을 벌인 끝에 유치한 국제 행사다.

여수는 이번 포럼에서 선사시대부터 동북아 해상 실크로드의 중심 도시였다는 사실을 국제적으로 공인하고, 세계 무역항으로서 충분한 역량을 갖췄다는 것을 국내외에 알렸다.

또 여수시는 실크로드 포럼을 통해 이란 야즈드를 비롯한 6개국 9개 도시와 교류·협력을 약속하는 양해각서(MOU)를 교환하는 성과를 거뒀다. 상호 업무협력과 학술교류 등 2개 분야에서 경제, 교육, 문화, 스포츠 등 세부사항에 대한 상호 협력 발전과 관계 증진을 도모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시는 이러한 외교 활성화를 통해 교류·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실크로드 정신을 구현함으로써 국제 역량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김 시장은 포럼에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목표인 국가 도시 간 사회 전반의 교류 확대와 이를 넘어 인류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세계시민정신을 천명하는 ‘여수선언문’을 채택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김 시장은 “고대 실크로드가 동서양의 문화와 문명을 이어주는 소통로였다면 21세기 신해양시대는 바다에 미래가 달려 있다”며 “해양문화를 창조하는 선두주자로서 육상 루트를 해상으로 조화롭게 연결시켜 해양을 넘어 대륙으로 뻗어 나가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수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3-10-2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