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나눔] 인천 환경미화원 체력시험 기준 논란
수정 2013-11-15 00:00
입력 2013-11-15 00:00
“50대 턱걸이 20회 과도해” “체력 실태 조사 따랐을 뿐”
‘50대가 턱걸이를 20개 이상 할 수 있을까?’
만점 기준은 50m 달리기의 경우 6.7초, 윗몸일으키기 1분당 53회, 턱걸이는 20회 이상이었다. 20세 이상 55세 이하 다양한 연령의 80명이 응시했지만 연령대와 상관 없이 만점 기준은 동일했다. 다만 여성 응시자의 경우 달리기 8.1초, 윗몸일으키기 45개, 오래매달리기 19초 이상으로 완화했다. 마치 지난날 대학입시 체력장을 연상시킨다.
체력시험 결과 20대 3명, 30대 2명, 40대 7명(여성 1명 포함) 등 모두 12명이 합격했다. 50대는 8명이 응시했지만 합격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체육계는 50대 성인의 경우 50m 달리기는 8∼9초가 평균이고, 윗몸일으키기나 턱걸이는 만점 기준에 절반도 미치기 어려운 것으로 파악했다.
시험에 참가한 권모(54)씨는 “체력시험에 똑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50대는 아무리 노력해도 젊은 사람들을 따라잡기 힘들다”면서 “나이를 구분해 현실에 맞도록 시험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체육과학연구원에서 19∼75세 성인 체력실태조사를 기준으로 한 것”이라며 ”다른 지자체들도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천 서구는 환경미화원 채용 시 연령대를 20∼30세, 30∼40세, 40∼55세로 나눠 다른 기준으로 체력시험을 치렀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요즘과 같은 노령화 사회에선 환경미화원으로 20∼30대보다 오히려 50대가 적합하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조모(44·인천 연수동)씨는 “환경미화는 팔팔한 20대보다 50대가 할 일이라는 게 일반적인 정서”라며 “50대에게 획일적으로 과도하게 높은 기준치를 적용할 게 아니라 오히려 가산점을 주는 게 합당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면접을 통한 최종 합격자는 15일 발표된다. 체력시험 통과자들의 학력은 고졸 6명, 전문대졸 1명, 대졸 5명이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3-11-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